한국소비자원은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와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소비자상담을 빅데이터시스템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 지난 8월 전체 상담 건수가 전월 대비 3.8% 증가했다고 18일 밝혔다.
지난달 소비자상담은 6만3540건으로 전월 6만1201건 대비 3.8%(2339건) 증가했다. 전년 동월 6만2927건과 비교해서는 1.0%(613건) 증가했다.
상담 증가율 상위 품목을 분석한 결과, 전월 대비 ‘예식서비스’가 507.5%로 가장 많이 증가했고, ‘호텔·펜션’(295.6%), ‘기타 숙박시설’(271.0%)이 뒤를 이었다.
‘호텔·펜션’ 및 게스트하우스, 캠핑장 등 ‘기타숙박시설’의 경우 잇따른 집중호우와 코로나19 감염 우려에 따른 계약해제 시 위약금 상담이 많았다.
전년 동월 대비 상담 증가율은 ‘예식서비스’(1268.7%)와 ‘호텔·펜션’(229.9%)이 높았다. 마스크의 품질 및 배송지연에 따른 불만으로 ‘보건‧위생용품’(607.4%)도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상담 다발 품목을 분석한 결과 ‘호텔·펜션’이 2504건으로 가장 많았다. ‘헬스장·휘트니스센터’(2420건), ‘예식서비스’(2272건)가 뒤를 이었다.
잇따른 집중호우로 인해 8월 초(1일~10일)에는 ‘호텔·펜션’이 가장 많이 접수됐으며, 코로나19의 재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격상된 8월 중순(11일~20일)에는 ‘헬스장·휘트니스센터’가, 하순(21일~31일)에는 ‘예식서비스’ 관련 상담이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30대가 1만9160건(32.1%)으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40대 1만5052건(25.2%), 50대 1만893건(18.2%) 순서로 많이 접수됐다.
상담사유별로는 ‘계약해제·위약금’(1만7546건, 27.6%), ‘품질·A/S관련’(1만6583건, 26.1%), ‘계약불이행’(8219건, 12.9%) 순이었다. 일반판매를 제외한 판매방법에서는 ‘국내 전자상거래’(1만5736건, 24.8%), ‘방문판매’(2544건, 4.0%), ‘전화권유판매’(1799건, 2.8%)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