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전선이 탄소섬유를 적용한 통신 케이블을 상품화했다. 탄소섬유 케이블은 강철에 비해 가볍고, 유연성과 내구성은 더 강한 것이 특징이다.
24일 LS전선에 따르면 차세대 소재인 탄소섬유를 케이블을 보호하는 차폐 소재로 채택했다. 그동안은 차폐 소재로 구리나 알루미늄을 사용해 왔다.
탄소섬유는 무게가 강철의 4분의 1에 불과하지만 강도는 10배, 탄성은 7배에 달한다. 이 탄소섬유를 사용하면 케이블의 무게가 10~20% 이상 가벼워지고, 유연성과 내구성은 30% 이상 향상된다.
LS전선은 스마트공장과 빌딩 등에서 설비 가동과 시스템 관리 등에 사용되는 랜(LAN) 케이블의 양산 준비를 끝내고, 산업용 케이블 전반에 대한 적용을 진행하고 있다.
향후 전기차와 철도, 항공, 선박 등 모빌리티 분야와 산업용 로봇과 엘리베이터 등 무빙 설비를 중심으로 도입이 활발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명노현 LS전선 대표는 “전 세계적으로도 케이블에 탄소섬유를 적용해 상품화 한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다”며 “신소재와 친환경 제품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전선업계의 ‘게임 체인저’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24일 LS전선에 따르면 차세대 소재인 탄소섬유를 케이블을 보호하는 차폐 소재로 채택했다. 그동안은 차폐 소재로 구리나 알루미늄을 사용해 왔다.
탄소섬유는 무게가 강철의 4분의 1에 불과하지만 강도는 10배, 탄성은 7배에 달한다. 이 탄소섬유를 사용하면 케이블의 무게가 10~20% 이상 가벼워지고, 유연성과 내구성은 30% 이상 향상된다.
LS전선은 스마트공장과 빌딩 등에서 설비 가동과 시스템 관리 등에 사용되는 랜(LAN) 케이블의 양산 준비를 끝내고, 산업용 케이블 전반에 대한 적용을 진행하고 있다.
명노현 LS전선 대표는 “전 세계적으로도 케이블에 탄소섬유를 적용해 상품화 한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다”며 “신소재와 친환경 제품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전선업계의 ‘게임 체인저’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진=LS전선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