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중심으로 미국 정계를 강타한 코로나19 확진 폭풍에 결국 미국 상원의회도 멈춰섰다. 이에 따라 미국의 추가 부양책 논의와 신임 연방대법관 인준 과정에도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3일(현지시간) 미국 상원의회 다수당인 공화당의 미치 매코널 원내대표는 "오는 19일까지 2주 동안 입법 작업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다만, 공화당은 에이미 코니 배럿 연방대법관 지명자의 인준 절차는 예정대로 진행하겠다는 방침이다. 당초 공화당은 오는 12일 배럿 지명자의 인사청문회를 연 뒤 10월 중 전체 표결까지 마칠 예정이다.
미국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공화당 지도부는 청문회 일정을 이달 19일 이후로 연기할지 아니면, 그대로 진행하는 대신 화상 청문회로 대체할지 여부를 놓고 논의 중이다.
이에 척 슈머 민주당 상원대표를 비롯한 10명의 민주당 상원의원은 성명을 통해 "비디오로 배럿 지명자에게 질의하는 것은 효과가 없다"면서 화상 청문회 계획을 비판했다.
미국 상원이 이날 일정 중단을 선언한 것은 지난달 26일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렸던 신임 연방대법관 지명행사에서 발생한 코로나19 집단 감염 사태 때문이다.
지난 2일 새벽 트럼프 대통령의 코로나19 확진 판정 이후 톰 틸리스·마이크 리 상원의원 두 명도 같은 날 감염검사에서 양성반응을 보였고, 상원 국토안보위원장인 론 존슨 의원 역시 3일 확진 판정을 받고 격리에 들어갔다.
당시 행사에는 톰 틸리스·마이크 리·마샤 블랙번·마이크 크레이포·뎁 피셔·벤 새서·조시 홀리·켈리 로에플러 등 공화당 상원의원 총 8명이 참여했기에, 공화당과 상원 내 추가 감염 우려도 큰 상태다.
한편, 이번 집단감염 사태를 두고 트위터 등 일각에서는 '공화당과 트럼프 대통령의 업보(카르마·Karma)'라는 비판 여론도 이어지고 있다. 아울러 고(故)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연방대법관의 이름과 유사한 유명 영화 '스타워즈'의 캐릭터인 다스베이더와 합성한 사진과 함께 '긴즈베이더의 저주'라는 풍자도 떠돈다.
긴즈버그 대법관은 타계 전 '자신의 후임을 차기 미국 대통령이 지명하길 원한다'는 유언을 남겼으나, 대선 상황을 염두에 둔 트럼프 대통령과 공화당은 타계 이튿날 곧바로 '후임자 지명'을 천명하고 서둘러 지명식을 진행했기 때문이다.
미국 상원의 일정 중단 상황이 추가 부양책 논의의 향방에 미칠 영향을 놓고 시장의 이목도 쏠리고 있다.
코로나19 재유행 사태로 미국의 경기 회복세가 둔화한 동시에 대선 불확실성으로 뉴욕증시 등 금융시장이 흔들리는 상황에서 시장은 '안정화 비책'으로 추가 부양책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지난달 말 민주당과 백악관·공화당 측은 추가 부양책 논의를 재개했지만, 부양책 규모를 놓고 의견이 계속 엇갈리고 있다.
지난 1일 민주당은 독자적으로 하원에서 2조2000억 달러(약 2572조원) 규모의 부양 법안을 통과시키고 상원 처리를 남겨두고 있는 상황인 반면, 트럼프 행정부는 1조6000억 달러(약 1870조원) 규모를 제시하고 추가 협상을 요구하고 있다.
어떤 방안이든 신규 부양책 승인을 위해선 양원(하원과 상원) 모두에서 법안이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이번 상원 활동 중단 선언의 여파는 불가피하다는 관측이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코로나19 확진이 오히려 추가 경기부양책 합의가 빨라지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하원 다수당인 민주당을 지휘하고 있는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은 MSNBC에서 "이번 사태를 계기로 공화당 의원들이 코로나19의 위험한 실상을 확인하면서, 부양책 협상과 관련한 역학 구도를 바꿀 수 있다"면서 "우리는 중간점을 찾아 논의를 끝낼 것"이라고 밝혔다.
토마스 블락 펀드스트랫 정책 전략가 역시 CNBC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코로나19 확진은 정책 관계자들에게 코로나 사태가 여전하다는 명확한 증거를 제시한다"면서 "이번 일이 코로나 사태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일깨우며 정체된 경기부양책 합의에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군병원에 입원 중인 트럼프 대통령 역시 3일 트위터에 "우리의 위대한 미국은 경기부양책을 원하고 필요로 한다"면서 "협력하고 마무리 짓자"고 촉구해 향후 추가 부양책 협상이 급물살을 탈 수 있을지 여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긴즈베이더의 저주?"...3명 확진에 美상원 '올 스톱', 19일 재개
3일(현지시간) 미국 상원의회 다수당인 공화당의 미치 매코널 원내대표는 "오는 19일까지 2주 동안 입법 작업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다만, 공화당은 에이미 코니 배럿 연방대법관 지명자의 인준 절차는 예정대로 진행하겠다는 방침이다. 당초 공화당은 오는 12일 배럿 지명자의 인사청문회를 연 뒤 10월 중 전체 표결까지 마칠 예정이다.
미국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공화당 지도부는 청문회 일정을 이달 19일 이후로 연기할지 아니면, 그대로 진행하는 대신 화상 청문회로 대체할지 여부를 놓고 논의 중이다.
미국 상원이 이날 일정 중단을 선언한 것은 지난달 26일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렸던 신임 연방대법관 지명행사에서 발생한 코로나19 집단 감염 사태 때문이다.
지난 2일 새벽 트럼프 대통령의 코로나19 확진 판정 이후 톰 틸리스·마이크 리 상원의원 두 명도 같은 날 감염검사에서 양성반응을 보였고, 상원 국토안보위원장인 론 존슨 의원 역시 3일 확진 판정을 받고 격리에 들어갔다.
당시 행사에는 톰 틸리스·마이크 리·마샤 블랙번·마이크 크레이포·뎁 피셔·벤 새서·조시 홀리·켈리 로에플러 등 공화당 상원의원 총 8명이 참여했기에, 공화당과 상원 내 추가 감염 우려도 큰 상태다.
한편, 이번 집단감염 사태를 두고 트위터 등 일각에서는 '공화당과 트럼프 대통령의 업보(카르마·Karma)'라는 비판 여론도 이어지고 있다. 아울러 고(故)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연방대법관의 이름과 유사한 유명 영화 '스타워즈'의 캐릭터인 다스베이더와 합성한 사진과 함께 '긴즈베이더의 저주'라는 풍자도 떠돈다.
긴즈버그 대법관은 타계 전 '자신의 후임을 차기 미국 대통령이 지명하길 원한다'는 유언을 남겼으나, 대선 상황을 염두에 둔 트럼프 대통령과 공화당은 타계 이튿날 곧바로 '후임자 지명'을 천명하고 서둘러 지명식을 진행했기 때문이다.
부양책 합의에 악영향 미칠라...트럼프 서둘러 트윗
미국 상원의 일정 중단 상황이 추가 부양책 논의의 향방에 미칠 영향을 놓고 시장의 이목도 쏠리고 있다.
코로나19 재유행 사태로 미국의 경기 회복세가 둔화한 동시에 대선 불확실성으로 뉴욕증시 등 금융시장이 흔들리는 상황에서 시장은 '안정화 비책'으로 추가 부양책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지난달 말 민주당과 백악관·공화당 측은 추가 부양책 논의를 재개했지만, 부양책 규모를 놓고 의견이 계속 엇갈리고 있다.
지난 1일 민주당은 독자적으로 하원에서 2조2000억 달러(약 2572조원) 규모의 부양 법안을 통과시키고 상원 처리를 남겨두고 있는 상황인 반면, 트럼프 행정부는 1조6000억 달러(약 1870조원) 규모를 제시하고 추가 협상을 요구하고 있다.
어떤 방안이든 신규 부양책 승인을 위해선 양원(하원과 상원) 모두에서 법안이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이번 상원 활동 중단 선언의 여파는 불가피하다는 관측이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코로나19 확진이 오히려 추가 경기부양책 합의가 빨라지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하원 다수당인 민주당을 지휘하고 있는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은 MSNBC에서 "이번 사태를 계기로 공화당 의원들이 코로나19의 위험한 실상을 확인하면서, 부양책 협상과 관련한 역학 구도를 바꿀 수 있다"면서 "우리는 중간점을 찾아 논의를 끝낼 것"이라고 밝혔다.
토마스 블락 펀드스트랫 정책 전략가 역시 CNBC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코로나19 확진은 정책 관계자들에게 코로나 사태가 여전하다는 명확한 증거를 제시한다"면서 "이번 일이 코로나 사태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일깨우며 정체된 경기부양책 합의에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군병원에 입원 중인 트럼프 대통령 역시 3일 트위터에 "우리의 위대한 미국은 경기부양책을 원하고 필요로 한다"면서 "협력하고 마무리 짓자"고 촉구해 향후 추가 부양책 협상이 급물살을 탈 수 있을지 여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