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노벨 화학상은 프랑스의 에마뉘엘 샤르팡티에와 미국의 제니퍼 A. 다우드나가 공동 수상했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7일(현지시간) 올해의 화학 수상자로 샤르팡티에와 다우드나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두 학자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CRISPR-Cas9)'라고 불리는 유전자 편집 기술을 개발한 공로가 인정돼 상을 받았다.
노벨위원회는 “올해 노벨 화학상 수상자들은 유전자 기술에 있어서 가장 강력한 도구인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개발했다”며 수상 이유를 설명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개발로 질병을 일으키는 비정상적인 유전자를 잘라 없애거나 변형시켜 유전병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들을 치료할 수 있게 됐다. 이 기술은 생명과학과 의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친 신기술로 평가된다.
노벨위원회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통해 동식물과 미생물의 DNA를 고도의 정밀성으로 변화시킬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유전자 가위 기술은 생명 과학에 혁명을 일으켰고 새로운 암 치료법 개발을 뒷받침했고, 유전 질환 치유라는 꿈을 현실로 만들 수 있는 기반이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프랑스 태생인 샤르팡티 교수는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병리학 교실에서 재직 중이다. 다우드나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 화학과 교수다. 두 수상자는 모두 여성이다. 여성 연구자 두 명이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편 그간 노벨 화학상 유력 수상자로 거론됐던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연구단장)는 수상이 불발됐다. 현택환 교수는 크기가 균일한 나노입자를 대량 합성할 수 있는 ‘승온법’을 개발해 한국인 최초로 노벨 화학상 유력 후보로 주목받아왔다.
한편 그간 노벨 화학상 유력 수상자로 거론됐던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연구단장)는 수상이 불발됐다. 현택환 교수는 크기가 균일한 나노입자를 대량 합성할 수 있는 ‘승온법’을 개발해 한국인 최초로 노벨 화학상 유력 후보로 주목받아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