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4일 금융통회위원회 회의를 마친 후 연 기자 간담회에서 “국내 가계부채 상황이 이미 높은 수준인데도 ,최근 증가세가 더 높아지고 있다”며 “이는 다양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가계대출 증가율은 지난 3분기 연속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6월 이후에는 주택거래, 주식투자 자금 수요가 늘어나면서 신용대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 총재는 “가계대출 자금이 자산시장으로 과도하게 유입되면, 추가적인 금융불균형 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정책당국과 긴밀한 소통을 통해 시장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겠단 의사도 밝혔다.
경제성장률은 지난 8월 전망치인 -1.3%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면서 국내경제 회복세가 나타낼 때까지 완화적 통화정책을 유지하겠단 입장도 재확인했다.
국고채 매입에 대해선 “현재 규모에서 유지하고 더 확대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한은은 지난 9월 올 연말까지 5조원 규모의 국고채 단순매입 계획을 밝힌 바 있다. 현재까지 매입 여력은 3조원이 남아 있다. 다만, 시장 상황에 따라 바뀔 변수도 존재한다.
국고채 매입을 내년까지 이어갈지에 대해서도 "내년의 실제 상황을 보고 필요할지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며 말을 아꼈다. 최근 금융시장 상황을 볼 때, 채권 매입 대상과 규모를 확대하는 본격적인 양적완화를 도입할 단계는 아직 아니라는 판단이다.
최근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서 제기된 채권시장 수급 불균형 문제에 대해서도 “크게 우려하지는 않는다”며 선을 그었다. 주요국의 통화정책 완화 기조, 국내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점 등 국내 채권투자에 우호적으로 작용했던 부분이 당분간 유지될 거란 판단이다.
원·달러 환율 급락과 관련한 우려에 대해선 “수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크게 볼 상황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발표한 재정준칙 도입 방안에 대해선 “한국은 다른 국가보다 저출산과 고령화가 빨라 연금이나 의료비 등 의무지출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에 따라 엄격한 준칙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