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집단면역' 참패라는데 미국은 '집단면역' 카드 만지작
'집단면역'을 내세우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에 나섰던 스웨덴에서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1000명을 넘어서면서 경제와 방역 모두를 놓쳤다는 평가가 나온다.
19일(현지시간)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집계에 따르면, 16일(현지시간)까지 일주일 동안 스웨덴의 하루 평균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679명이다. 15일에는 신규 확진자가 1075명까지 불어났다. 앞서 스웨덴은 코로나19 확산에 유럽 주요 국가들이 봉쇄 조치를 단행한 것과 달리, 국민의 이동권을 제한하지 않는 '집단면역'(herd immunity) 방식을 고수해 주목받았다.
그러나 집단면역을 시험했던 스웨덴에서 득보다 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자 스웨덴은 코로나19 대응 방식을 손보기로 했다. 미국 경제매체 비즈니스인사이더(BI)는 일상을 유지해왔던 스웨덴이 대응 전략을 수정하고 일부 지역에서 통제 조치를 발동할 수 있다고 18일 보도했다.
19일(현지시간)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집계에 따르면, 16일(현지시간)까지 일주일 동안 스웨덴의 하루 평균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679명이다. 15일에는 신규 확진자가 1075명까지 불어났다. 앞서 스웨덴은 코로나19 확산에 유럽 주요 국가들이 봉쇄 조치를 단행한 것과 달리, 국민의 이동권을 제한하지 않는 '집단면역'(herd immunity) 방식을 고수해 주목받았다.
그러나 집단면역을 시험했던 스웨덴에서 득보다 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자 스웨덴은 코로나19 대응 방식을 손보기로 했다. 미국 경제매체 비즈니스인사이더(BI)는 일상을 유지해왔던 스웨덴이 대응 전략을 수정하고 일부 지역에서 통제 조치를 발동할 수 있다고 18일 보도했다.
월성1호기 폐쇄 경제성 평가 '잘못'...문 정부 탈원전정책 '삐걱'
월성 원자력발전소 1호기 조기 폐쇄 결정의 근거가 된 경제성 평가에 문제가 있다는 감사원 감사 결과가 나오면서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삐걱거리게 됐다. 문재인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탈원전 정책에 대한 신뢰도에도 금이 갔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감사원은 경제성 평가만 지적했을 뿐, 안전성과 지역수용성 등 폐쇄 결정 자체의 타당성에 대해서는 판단을 내리지 않았다. 관리 주체인 한수원은 결과를 인정하고 후속조치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다만, 감사원은 경제성 평가만 지적했을 뿐, 안전성과 지역수용성 등 폐쇄 결정 자체의 타당성에 대해서는 판단을 내리지 않았다. 관리 주체인 한수원은 결과를 인정하고 후속조치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모더나 백신 출시 초읽기..."12월 혹은 내년 2월, 가격은 50달러"
코로나19 백신 개발 선두주자 중 하나로 꼽히는 미국 모더나 퓨리어틱스가 연내 미국 정부로부터 백신 긴급승인을 받을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1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스테파네 방셀 모더나 최고경영자(CEO)는 "다음 달 나올 3상 임상시험 중간결과가 긍정적이라면 12월 중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백신 긴급사용승인(EUA)을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날 WSJ가 주최한 연례 '테크 라이브 콘퍼런스'에 참가한 방셀 CEO는 "만약 11월 중 충분한 중간결과를 얻지 못 한다면, 미국 정부의 백신 승인은 내년 1월 말~2월 초까지 미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1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스테파네 방셀 모더나 최고경영자(CEO)는 "다음 달 나올 3상 임상시험 중간결과가 긍정적이라면 12월 중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백신 긴급사용승인(EUA)을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날 WSJ가 주최한 연례 '테크 라이브 콘퍼런스'에 참가한 방셀 CEO는 "만약 11월 중 충분한 중간결과를 얻지 못 한다면, 미국 정부의 백신 승인은 내년 1월 말~2월 초까지 미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롯데 신동빈 두달만에 귀국…순혈주의 깨고 인적쇄신 드라이브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귀국했다. 지난 8월 조기인사를 단행하고 일본으로 떠난 지 두달 만이다. 신 회장의 귀국으로 롯데그룹의 임원 인사 등 내부 개혁을 위한 움직임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신 회장의 장남 유열씨(34)가 최근 일본 롯데 계열사에 입사하면서 롯데의 3세 경영 체제에도 관심이 쏠린다.
20일 롯데지주에 따르면, 신 회장은 지난 주말 일본에서 귀국해 이날 오전 출근했으며 오후 열리는 주간 업무보고도 직접 주재했다. 한·일 양국이 지난 8일부터 '기업인 특별입국 절차'를 시행하면서, 신 회장은 2주간의 자가격리 기간 없이 '한·일 셔틀경영'을 통해 현업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
20일 롯데지주에 따르면, 신 회장은 지난 주말 일본에서 귀국해 이날 오전 출근했으며 오후 열리는 주간 업무보고도 직접 주재했다. 한·일 양국이 지난 8일부터 '기업인 특별입국 절차'를 시행하면서, 신 회장은 2주간의 자가격리 기간 없이 '한·일 셔틀경영'을 통해 현업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
이재명 '국민의짐' 발언에 설전 오간 국감장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20일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민의 힘 당명을 ‘국민의짐’이라고 표현한 것을 두고 설전이 벌어졌다. 이에 국감이 중단되기도 했다.
박성민 국민의 힘 의원은 이날 국감에서 "이 지사가 최근 SNS를 통해 국민의 힘을 국민의 짐이라 표현하고 조롱했다며 이는 공인으로서 할 말이 아니"라며 사과를 요구했다. 박 의원은 이 지사를 향해 “제1야당의 당명에 ‘국민의짐’이 뭐냐. 너무 정치적이지 않나”라며 “예의를 지켜 달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 지사는 "국민의 짐 발언은 국민의 힘 일부 의원의 경기도 홍보비에 대한 비난이 잘못된 것이란 걸 지적하면서 나온 것"이라면서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한 충고이자 충분히 할 수 있는 말"이라고 받아치며 공방은 가열됐다.
박성민 국민의 힘 의원은 이날 국감에서 "이 지사가 최근 SNS를 통해 국민의 힘을 국민의 짐이라 표현하고 조롱했다며 이는 공인으로서 할 말이 아니"라며 사과를 요구했다. 박 의원은 이 지사를 향해 “제1야당의 당명에 ‘국민의짐’이 뭐냐. 너무 정치적이지 않나”라며 “예의를 지켜 달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 지사는 "국민의 짐 발언은 국민의 힘 일부 의원의 경기도 홍보비에 대한 비난이 잘못된 것이란 걸 지적하면서 나온 것"이라면서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한 충고이자 충분히 할 수 있는 말"이라고 받아치며 공방은 가열됐다.
월급쟁이 10명 중 3명, 월 200만원 못 번다...금융·보험은 '고소득'
올해 상반기 월급쟁이 3명 중 1명은 월평균 임금이 200만원이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달 400만원 이상 버는 사람은 금융·보험업에 가장 많았다.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을 보면, 올해 4월 기준 임금근로자 월평균 임금 비중은 100만원 미만이 8.9%, 100만~200만원 미만이 22.6%로 나타났다. 전체 임금근로자의 31.5%가 한 달에 200만원도 못 번다는 의미다.
1년 전과 비교하면 200만원 미만 소득자 비중은 2.5%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매달 200만원 이상 버는 임금근로자 비중은 2.6%포인트 늘었다. 이런 추세는 2016년 상반기 이후 4년째 이어지고 있다. 통계청은 2013년 상반기부터 반기 기준으로 해당 통계를 집계 중이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소병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법무부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접수된 공무원 범죄건수는 1만9429건으로, 2010년 1만667건에 비해 82%나 증가했다고 20일 밝혔다. 그러나 기소율은 7.0%에서 0.9%로, 7분의 1이하로 줄었다.
2018년 기준 공무원의 직무 관련 범죄유형은 ‘직권남용’이 가장 많은 1만5001건으로 확인됐지만, 기소율은 0.2%에 불과했다. ‘허위공문서’의 경우 1814건으로 집계됐으나, 기소율은 2.9%에 그쳤다. ‘독직폭행’ 876건은 기소율이 0.3%였다.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을 보면, 올해 4월 기준 임금근로자 월평균 임금 비중은 100만원 미만이 8.9%, 100만~200만원 미만이 22.6%로 나타났다. 전체 임금근로자의 31.5%가 한 달에 200만원도 못 번다는 의미다.
1년 전과 비교하면 200만원 미만 소득자 비중은 2.5%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매달 200만원 이상 버는 임금근로자 비중은 2.6%포인트 늘었다. 이런 추세는 2016년 상반기 이후 4년째 이어지고 있다. 통계청은 2013년 상반기부터 반기 기준으로 해당 통계를 집계 중이다.
공무원 직무 범죄 9년간 82% 증가...기소율은 1% 미만
지난 9년간 직무 관련 공무원 범죄는 82% 증가했으나, 기소율은 1%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에 대한 솜방망이 처벌이 심각하다는 지적이 나온다.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소병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법무부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접수된 공무원 범죄건수는 1만9429건으로, 2010년 1만667건에 비해 82%나 증가했다고 20일 밝혔다. 그러나 기소율은 7.0%에서 0.9%로, 7분의 1이하로 줄었다.
2018년 기준 공무원의 직무 관련 범죄유형은 ‘직권남용’이 가장 많은 1만5001건으로 확인됐지만, 기소율은 0.2%에 불과했다. ‘허위공문서’의 경우 1814건으로 집계됐으나, 기소율은 2.9%에 그쳤다. ‘독직폭행’ 876건은 기소율이 0.3%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