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뉴딜이라고 불리는 K-뉴딜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바로 디지털뉴딜과 그린뉴딜이다. 이 중 디지털뉴딜은 빅데이터, 드론, AI를 활용한 산업지능화를 목표로 추진하게 된다. 한국 산업의 핵심 자산인 반도체 산업의 미래 청사진도 디지털 뉴딜을 통해 그린다. 그린뉴딜의 경우에는 수소와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통한 지속가능한 개발과 미래 에너지시장의 선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코로나19의 돌파구로 디지털 뉴딜이 시도되지만 종착역은 반도체 시장의 경쟁력 강화다. 디지털 뉴딜은 산업 전반에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디지털 혁신이 골자다. 코로나19로 확산된 비대면 경제 활성화 움직임을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과 연결해 우선 추진한다.
지난 8월 나온 디지털 기반 산업 혁신성장 전략에 따르면 △적시·적절한 데이터 확보 지원 △데이터·인공지능(AI) 활용 산업 밸류체인(가치사슬) 고도화 △산업 디지털 혁신 인프라 구축 등 크게 세 갈래로 추진된다.
이를 통해 산업별 데이터 플랫폼과 표준센터를 구축하고 연구개발(R&D) 디지털화도 지원한다. 또한, 산업 데이터·AI 전문인력 육성과 디지털 통상협정(DPA)도 추진하며 인프라 조성에 나선다.
정부의 디지털 뉴딜 마지막 장에는 핵심 미래 먹거리인 반도체 산업의 확장과 맥이 닿아 있다. 디지털 시스템의 모든 분야에 막대한 반도체가 사용되기 때문이다. 한국은 메모리 반도체에서는 강점을 보이고 있지만 이보다 시장이 큰 비메모리 반도체에서는 아직 고전 중이다. 이 때문에 디지털 뉴딜의 핵심 과제 중 하나가 반도체로 떠올랐다.
정부는 지난 9월 시스템반도체 세계 1위 목표를 걸고 디지털 뉴딜 실현과 포스트 코로나 대응을 위한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정부는 이 사업에 1조원을 쏟아부을 계획이다.
특히 향후 수요 급증이 예상되는 AI 반도체에 더욱 힘을 쏟는다는 각오다. AI 반도체는 시스템반도체의 일종이다. 인공지능 연산 성능 고속화와 소비전력 효율을 높이기 위해 필요하다.
◆그린뉴딜을 통한 지속가능한 자원개발
K-뉴딜의 또 다른 한 축인 그린뉴딜은 미래세대를 생각한 장기적인 플랜이다.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2050년 탄소 중립을 목표로 잡았다. 탄소 중립이란 기업과 단체에서 배출한 이산화탄소를 다시 흡수해 실질적인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그린뉴딜에는 8조원이 투자된다.
국내 신재생에너지 수요의 확대로 관련 경쟁력이 높아진다면 글로벌 시장의 진출 토대도 마련된다. 이미 수출효자로 친환경차의 약진은 두드러지고 있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수출 악재 속에서도 홀로 꾸준히 두 자릿수 수출성장세를 이어갔다.
앞으로 전기 수소차의 보급도 11만대 이상으로 확대하고 충전소 건설과 급속 충전기 증설 등 인프라 확대도 병행한다. 또한 산업단지를 그린스마트산단으로 개조해 지역 환경을 지키며 산업의 효율성도 높이겠다는 계산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