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는 지능형 가상발전소 운영 및 전력중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KT 대구물류센터에 0.9MW급 차세대 수소 연료전지 발전 설비를 구축했다고 8일 밝혔다. [사진=KT 제공]
지능형 가상발전소 운영은 KT만의 연료전지 관리 시스템(FC-EMS: FuelCell-Energy Management System)을 통해 '가상 발전 사업자(이하 VPP: Virtual Power Plant: 연료전지 등을 활용해 소규모 전력을 생산하는 사업자)'들의 효율적인 발전 운용을 돕는 사업이다. 발전 및 설비운용 상태를 KT 에너지 통합 관리 플랫폼인 KT-MEG(Micro Energy Grid)로 24시간 모니터링하며, 데이터 분석, 장애 대응을 돕는다
소규모 전력중개 사업은 전역에 분산된 신재생 에너지원과 에너지 저장장치, 전기차 등에서 생산된 1mw 이하 전기를 중개사업자가 모아 전력시장에서 거래하는 사업이다. 이번 KT 대구물류센터 사례처럼, 유휴 공간에 설치된 연료전지 설비에서 생산된 전기를 모아 전력거래소에 판매한다.
KT는 지난 2016년부터 전력중개 시범사업자로 선정돼 전력중개시스템 개발 및 고도화를 추진해 왔다. 이를 위해 AI와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투명하고 정확한 거래를 보장하는 'KT 기가 에너지 트레이드'라는 상품을 선보이기도 했다.
특히 ‘연료전지 사업’ 분야에서 KT는 도심지에 적합한 건물용 소용량 연료전지 상품을 준비 중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국내 업체들과 협력 체계를 구축하며 사업 확대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문성욱 KT 기업신사업본부 본부장은 "KT는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 활성화를 위해 KT 자체적으로 친환경 연료전지 발전설비를 구축해 운영 중"이라며 "자가소비 건물용 연료전지 사업 진출과 소규모 분산발전 자원 확대를 통해 에너지 자립화 실현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