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향교 대성전 동․서무’ 국가 보물 지정 예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상주) 피민호 기자
입력 2020-11-08 16:1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상주향교 대성전(가운데 위쪽), 서무(좌측 건물), 동무(우측 건물)[사진=상주시 제공]

“지역의 소중한 문화재가 국가 문화재로 지정 예고된 만큼 보존과 활용․관리에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경북 상주시는 문화재청이 지난 6일 ‘상주향교 대성전 및 동․서무’를 국가지정문화재인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밝혔다.

문화재청은 30일간 예고 후 최종 심의를 거쳐 보물로 지정한다.

상주향교 대성전은 전면을 개방한 전퇴개방형으로 서울 문묘와 성균관 대성전(보물 제141호) 다음으로 큰 규모다.

상주향교의 동ㆍ서무(과거 위패를 모신 건물)는 정면 10칸, 측면 1.5칸으로 기단과 처마도리를 경사지에 맞춰 건물 전체 높이는 같게 하고 양 단부의 가로 방향으로 길고 넓적한 자연석 초석 위에 처마도리를 받치는 보조기둥을 세운 구조다.

전체적으로 기단, 창호, 공포 등에서 조선 중기 이후 향교 건축의 특성이 잘 나타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문화재청은 상주향교가 당시의 구조양식 등 원형을 잘 간직하고 있는데다 정형화된 엄격한 배치구성이 돋보이며, 특히 동서무는 경사 지형을 고려한 탁월한 입면구성을 갖춰 역사적, 학술적, 건축사적 가치가 뛰어나 보물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상주향교’는 고려 때 12목에 학교를 설치하라는 조정의 명에 따라 창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유서 깊은 문화유산으로 1486년 목사 강구손(姜龜孫)이 성전, 루, 동재 등을 중수했고, 경주향교와 함께 대설위 향교로서 총 39현을 모시고 있다.

춘추(음력 2월, 8월)에 유교 제사의식의 전범(典範)이자 가장 규모가 큰 제사인 석전대제를 봉행하고 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후 광해군 때 대대적인 복구로 중수됐으며 일제강점기 때 창호 등에 대한 변형은 있었으나 당시 양식과 배치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강영석 상주시장은 “경상도의 뿌리인 상주의 향교가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으면서 보물로 지정예고 돼 기쁘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