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주향교 대성전(가운데 위쪽), 서무(좌측 건물), 동무(우측 건물)[사진=상주시 제공]
경북 상주시는 문화재청이 지난 6일 ‘상주향교 대성전 및 동․서무’를 국가지정문화재인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밝혔다.
문화재청은 30일간 예고 후 최종 심의를 거쳐 보물로 지정한다.
상주향교 대성전은 전면을 개방한 전퇴개방형으로 서울 문묘와 성균관 대성전(보물 제141호) 다음으로 큰 규모다.
전체적으로 기단, 창호, 공포 등에서 조선 중기 이후 향교 건축의 특성이 잘 나타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문화재청은 상주향교가 당시의 구조양식 등 원형을 잘 간직하고 있는데다 정형화된 엄격한 배치구성이 돋보이며, 특히 동서무는 경사 지형을 고려한 탁월한 입면구성을 갖춰 역사적, 학술적, 건축사적 가치가 뛰어나 보물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상주향교’는 고려 때 12목에 학교를 설치하라는 조정의 명에 따라 창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유서 깊은 문화유산으로 1486년 목사 강구손(姜龜孫)이 성전, 루, 동재 등을 중수했고, 경주향교와 함께 대설위 향교로서 총 39현을 모시고 있다.
춘추(음력 2월, 8월)에 유교 제사의식의 전범(典範)이자 가장 규모가 큰 제사인 석전대제를 봉행하고 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후 광해군 때 대대적인 복구로 중수됐으며 일제강점기 때 창호 등에 대한 변형은 있었으나 당시 양식과 배치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강영석 상주시장은 “경상도의 뿌리인 상주의 향교가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으면서 보물로 지정예고 돼 기쁘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