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물공여 등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양형에 영향을 줄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에 대한 평가가 본격 시작된다. 지난 10개월 동안 운영된 준법감시위는 그동안 삼성의 크고 작은 변화를 이끌어 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10일 법조계와 재계에 따르면 각 전문심리위원은 이날 첫 만남을 통해 준법감시위에 대한 평가 사항과 향후 일정 등을 논의한다.
앞서 서울고법 형사1부(정준영 부장판사)는 지난 9일 국정농단 파기환송심 공판에서 홍순탁 회계사와 김경수 법무법인 율촌 변호사를 전문심리위원으로 지정했다. 강일원 전 헌법재판관과 더불어 세 명의 위원이 삼성 준법감시위를 평가한다. 이들은 3주 동안 자료 조사, 관계자 면담 등을 진행하고 오는 30일 공판에서 의견을 제시할 예정이다.
재판부는 이 부회장의 양형을 고려할 때 전문심리위원의 평가를 일부분 고려할 방침이다.
재판부는 지난해 이 부회장 측에게 위법 행위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실효적 준법감시제도를 마련하라고 주문했고, 이에 따라 지난 2월 준법감시위가 출범했다.
핵심은 준법감시제도의 실효성이다. 재판부는 “삼성 역시 준법감시제도를 시행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같은 뇌물횡령죄가 발생했다”며 “과거 삼성이 약속한 준법경영과 개선 방안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재계에서는 준법감시위 활동으로 삼성이 과거에 비해 진전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먼저, 이 부회장은 지난 3월 준법감시위 권고에 따라 불법 경영권 승계와 노동조합 탄압에 대한 대국민 사과를 발표했다. 이 부회장은 참모진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직접 사과문을 작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사과문을 통해 무노조 경영 폐기를 공식적으로 선언하고, 자식들에게 회사 경영권을 물려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후 삼성전자 노사는 첫 단체교섭이라는 결실을 맺었다. 삼성전자 노조 공동교섭단과 최완우 DS부문 인사기획그룹장은 지난 3일 서울 여의도 한국노총에서 상견례를 갖고, 1차 교섭을 진했다.
또 이 부회장은 지난달 8일에는 준법감시위원들과 처음으로 면담을 하기도 했다. 그는 “지난번 대국민 사과에서 국민들께 약속한 부분을 반드시 지켜나가겠다”고 말했다.
준법감시위는 내년에는 삼성전자 등 7개 계열사 최고경영자도 만날 예정이다.
아울러 준법감시위는 홈페이지를 통해 삼성 계열사 최고경영진의 준법의무 위반에 대한 신고를 받고 있다.
한 재계 관계자는 “준법감시제도가 있으면 임직원들이 준법에 대해 더 신경 쓸 수밖에 없다”면서 “이 부회장의 재판이 끝난다고 해서 이미 활동하고 있는 준법감시위가 쉽게 무력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서울고법 형사1부(정준영 부장판사)는 지난 9일 국정농단 파기환송심 공판에서 홍순탁 회계사와 김경수 법무법인 율촌 변호사를 전문심리위원으로 지정했다. 강일원 전 헌법재판관과 더불어 세 명의 위원이 삼성 준법감시위를 평가한다. 이들은 3주 동안 자료 조사, 관계자 면담 등을 진행하고 오는 30일 공판에서 의견을 제시할 예정이다.
재판부는 이 부회장의 양형을 고려할 때 전문심리위원의 평가를 일부분 고려할 방침이다.
재판부는 지난해 이 부회장 측에게 위법 행위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실효적 준법감시제도를 마련하라고 주문했고, 이에 따라 지난 2월 준법감시위가 출범했다.
이에 대해 재계에서는 준법감시위 활동으로 삼성이 과거에 비해 진전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먼저, 이 부회장은 지난 3월 준법감시위 권고에 따라 불법 경영권 승계와 노동조합 탄압에 대한 대국민 사과를 발표했다. 이 부회장은 참모진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직접 사과문을 작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사과문을 통해 무노조 경영 폐기를 공식적으로 선언하고, 자식들에게 회사 경영권을 물려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후 삼성전자 노사는 첫 단체교섭이라는 결실을 맺었다. 삼성전자 노조 공동교섭단과 최완우 DS부문 인사기획그룹장은 지난 3일 서울 여의도 한국노총에서 상견례를 갖고, 1차 교섭을 진했다.
또 이 부회장은 지난달 8일에는 준법감시위원들과 처음으로 면담을 하기도 했다. 그는 “지난번 대국민 사과에서 국민들께 약속한 부분을 반드시 지켜나가겠다”고 말했다.
준법감시위는 내년에는 삼성전자 등 7개 계열사 최고경영자도 만날 예정이다.
아울러 준법감시위는 홈페이지를 통해 삼성 계열사 최고경영진의 준법의무 위반에 대한 신고를 받고 있다.
한 재계 관계자는 “준법감시제도가 있으면 임직원들이 준법에 대해 더 신경 쓸 수밖에 없다”면서 “이 부회장의 재판이 끝난다고 해서 이미 활동하고 있는 준법감시위가 쉽게 무력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9일 서초동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리는 '국정농단' 사건 파기환송심 재판에 출석하고 있다. [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