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교통이나 의료기관 등 다중이용시설에서 마스크 미착용자에 대한 과태료 부과가 13일부터 시작된다.
12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등에 따르면 ‘감염병예방법’ 개정에 따라 이달 13일부터 마스크 착용과 같은 방역지침 준수 명령을 위반하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이는 한 달간의 계도기간이 종료되는 데 따른 조처다.
사회적 거리두기 1단계에서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해야 하는 시설 및 장소는 중점·일반관리시설 23종과 대중교통, 집회·시위장, 의료기관·약국, 요양시설 및 주야간 보호시설, 종교시설 등이다.
마스크는 비말(침방울) 차단 성능과 안전성이 검증된 보건용 마스크(KF94, KF80 등)나 비말차단용(KF-AD), 수술용 마스크 등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의약외품’으로 허가된 제품을 쓰는 게 좋다.
천 마스크나 면 마스크는 써도 되지만 망사형 마스크, 밸브형 마스크는 인정되지 않아 과태료를 물 수 있다. 스카프 등의 옷가지로 얼굴을 가리는 행위도 마스크 착용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마스크를 썼더라도 ‘턱스크’, ‘코스크’ 등 입이나 코를 완전히 가리지 않은 경우 마스크를 쓰지 않은 것으로 간주돼 과태료를 물 수 있다.
위반 당사자에게는 횟수와 관계없이 최대 1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또한 이용자에게 마스크 착용 의무 등 방역 지침을 제대로 안내하지 않았다 적발되는 시설 관리자 및 운영자 역시 행정명령에 따른 관리 의무를 준수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돼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1차 위반 시에는 최대 150만원, 2차 이상 위반시에는 최대 300만원 등이다.
과태료 부과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도 있다. 과태료 부과·징수를 규정하는 질서위반행위규제법에 근거해 만 14세 미만은 과태료 부과 대상에서 제외된다. 또 주변의 도움 없이 스스로 마스크를 착용하거나 벗는 것이 어려운 사람, 평소 기저질환(지병)을 앓고 있어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호흡이 어려운 사람 역시 과태료 부과 대상에서 빠질 수 있다.
아울러 결혼식을 하는 신랑, 신부, 양가 부모님은 예식을 할 때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