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원자력기구(IAEA)가 북한의 핵 활동에 우려를 표했다. 반면 북한 측은 IAEA 보고에 대해 ‘추측’과 ‘조작’이 가득하다고 반박했다.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IAEA는 11일(현지시간) 개최된 유엔 총회에서 영상 보고를 통해 “북한의 핵 활동은 여전히 심각한 우려의 근거가 되고 있다”면서 “북한의 핵 프로그램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명백히 어긋나 무척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영상 보고자로 나선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은 “IAEA는 위성사진을 비롯한 공개 정보를 활용해 북한 핵 프로그램에 대한 감시를 계속하고 있다”며 “북한의 핵 프로그램을 검증하는 핵심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준비에 최선을 가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안보리 결의에 따른 의무를 완전히 준수하고, ‘핵무기전파방지조약의 안전조치 협정(NPT)’ 조속히 복귀할 것을 촉구한다”면서 IAEA 사찰단의 부재 기간에 발생한 문제도 해결할 것을 강조했다.
북한은 지난 2009년 IAEA 사찰단을 추방하고, 핵 시설에 대한 접근은 거부했고, 이후 핵 개발을 지속해왔다는 것이 IAEA의 추장이다. 북한은 지난 1985년 NPT에 가입했다가 2003년에 탈퇴했다.
REA에 따르면 이날 유엔 주재 유럽연합(EU)과 일본, 쿠웨이트, 한국 대표부 측도 북한의 핵 활동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특히 한국 대표부 측은 IAEA가 북한 핵 프로그램을 검증하는데 핵심적인 준비가 됐다는 점 등 전 세계적인 핵 감시 활동에 지지를 표한다고 했다.
EU 대표부 역시 북한 핵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발전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북한이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를 위한 신뢰할 수 있을 길을 가고 있다는 구체적인 조처를 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북한은 반발했다. 김성 주유엔 북한대사는 이날 뉴욕 유엔 본부 총회장에서 약 2분 39초 간의 발언을 통해 IAEA의 연례보고서가 추측과 조작으로 가득 차 있고, IAEA가 서방국가들의 정치적 도구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어 “IAEA가 불편 부당성과 객관성이 모자라고, 적대 세력의 곡조에 맞춰 춤추는 꼭두각시로 남아있는 한 절대로 함께 일하지 않을 것”이라고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