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강소·중견기업 경제기여도 30% 달성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박성준 기자
입력 2020-11-12 14:1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1만2000개 차세대 혁신기업 키운다

  • 2024년까지 세계일류상품 기업 1000개 육성

정세균 국무총리가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한국경제의 허리 역할을 맡는 강소·중견기업의 경제기여도를 끌어올린다. 정부는 이들 기업이 현재 20%대 경제기여도를 2030년까지 30%로 더 높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정부는 12일 서울청사에서 국무총리 주재로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혁신형 강소·중견기업 성장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성장전략은 중소·벤처부터 중견을 거쳐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성장하는 기업의 전주기적 관점에서 접근했다.

정부는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 팬더믹으로 민첩하고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는 혁신형 강소·중견기업의 중요성이 커졌다"면서 "한국판 뉴딜 실행과 소부장 산업 육성,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양극화 해소 역시 강소·중견 기업 역량에 달려있다"고 설명했다.

그간 정부는 강소·중견기업 육성을 추진해 왔으나 성장이 정체됐다. 중소에서 중견으로 성장하는 기업은 해마다 10개 안팎에 불과하며, 세계일류상품을 보유한 혁신기업 출연도 둔화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기업 규모와 특성에 따른 맞춤형 지원으로 매출, 수출, 일자리 등 경제 기여도를 30%대로 높인다는 구상이다.

중점 추진과제로 우선 중견기업의 글로벌 전문기업화를 촉진한다. 이를 위해 혁신제품 개발, 수출판로 개척 등을 종합 지원할 계획이다. 1조5000억 원을 투자해 글로벌 중견기업 연구개발(R&D) 지원사업인 '월드클래스300'과 우수기업연구소(ATC) 사업을 2단계로 확대 추진한다.

혁신성과 공공성이 높은 상품은 '혁신 제품'으로 선정해 공공기관 우선 구매를 장려해 납품실적 확보를 지원한다. 또한, 수출 바우처 지원 사업도 늘린다. 이를 통해 2024년까지 세계일류상품 생산 중소·중견기업을 2019년 698개에서 앞으로 1000개로 늘릴 계획이다.

중견기업이 기술혁신을 할 수 있게 공공연구기관 및 대학과의 핵심기술 R&D 협력도 지원한다. 이공계 대학교수가 연구년을 활용해 이들 기업과 공동연구를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도 신설한다.

신사업 등대 프로젝트로 중소·중견기업이 연대와 협력을 통해 새로운 먹거리를 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 목표는 2024년까지 100개 신사업 협력모델도 발굴이다.

차세대 혁신기업군도 집중적으로 육성한다. 디지털·그린 뉴딜, 소재부품장비 등 국가 핵심 전략 분야 유망기업을 2024년까지 1만2000개를 발굴한다.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으로 가는 첫 관문인 '매출 100억 원' 돌파도 지원한다. 중소기업의 95%는 매출 100억 원 미만으로, 매출액이 올라 중견기업으로 가는 경우는 매우 적다.

정부는 중소기업 재직자 인센티브 강화 등을 통해 인력 부족을 완화하고, 성장 중소기업에 대한 시설 투자 자금지원을 올해 8300억 원에서 내년 1조1500억 원으로 늘리는 등 정책자금 규모를 대폭 확대할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