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실수요자는 최대한 보호를 위해 금융사에게 연말 대출수요 철저히 심사해달라."
도규상 금융위 부위원장(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에서 "(가계대출 관리 과정에서) 대원칙이 절대 훼손되지 않도록 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코로나19 위기 속에 서민·소상공인의 실수요 확대에 따른 가계대출 증가는 불가피하다"면서도 "가계대출이 자산시장 이상과열로 이어지고 있어 관리가 필요하다는 우려도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는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 금융당국이 직면한 딜레마적 상황"이라며 "지난 8월부터 가계대출 증가세에 대해 경각심을 갖고 다양한 관리 노력을 기울여왔다"고 강조했다.
금융위는 향후 상환능력 위주의 대출심사 관행이 더 공고히 정착될 방안 마련에도 나설 방침이다. 도 부위원장은 "이달 중 가계부채 관리 선진화 작업반'을 가동해 '가계부채 관리 선진화 로드맵'을 내년 1분기 중으로 마련하겠다"며 "DSR 관리기준의 단계적 강화 및 조기 시행, DSR 산정기준 정교화 등이 포함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도규상 금융위 부위원장(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에서 "(가계대출 관리 과정에서) 대원칙이 절대 훼손되지 않도록 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코로나19 위기 속에 서민·소상공인의 실수요 확대에 따른 가계대출 증가는 불가피하다"면서도 "가계대출이 자산시장 이상과열로 이어지고 있어 관리가 필요하다는 우려도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는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 금융당국이 직면한 딜레마적 상황"이라며 "지난 8월부터 가계대출 증가세에 대해 경각심을 갖고 다양한 관리 노력을 기울여왔다"고 강조했다.
금융위는 향후 상환능력 위주의 대출심사 관행이 더 공고히 정착될 방안 마련에도 나설 방침이다. 도 부위원장은 "이달 중 가계부채 관리 선진화 작업반'을 가동해 '가계부채 관리 선진화 로드맵'을 내년 1분기 중으로 마련하겠다"며 "DSR 관리기준의 단계적 강화 및 조기 시행, DSR 산정기준 정교화 등이 포함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