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11/18/20201118103820800426.jpg)
앤 샬롯 로버트슨 감독의 '5년간의 일기' [사진=국립현대미술관 제공]
평범한 삶의 단면을 다룬 세 거장의 영화가 코로나19 시대를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위로를 전한다.
국립현대미술관(MMCA·관장 윤범모) MMCA필름앤비디오 상영 프로그램 ‘2020막간’을 오는 20일부터 12월 6일까지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MMCA필름앤비디오에서 개최한다.
‘막간’은 MMCA필름앤비디오의 단기 프로그램이다. 올해 코로나19 사태로 정규프로그램 상영이 미뤄진 가운데도 모처럼 미술관을 찾는 관람객에게 다양한 문화향유 기회를 제공하고자 기획됐다.
‘2020막간’은 필립 가렐(Philippe Garrel·프랑스), 요나스 메카스(Jonas Mekas·미국), 앤 샬롯 로버트슨(Anne Charlotte Robertson·미국)의 대표작 7편을 통해 코로나 시대에 더욱 소중해진 ‘일상’을 돌아본다.
필립 가렐의 작품 ‘내부의 상처’(1972), ‘비밀의 아이’(1979), ‘그녀는 조명등 아래서 그토록 많은 시간을 보냈다...’(1985) 등 3편과, 요나스 메카스의 작품 ‘월든(일기, 노트, 스케치)’(1968~69), ‘로스트 로스트 로스트’(1976), ‘행복한 삶의 기록에서 삭제된 부분’(2012) 등 3편이 소개된다.
두 감독은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개최된 회고전 ‘필립 가렐: 찬란한 절망’(2015.11.25.~2016.2.28.), ‘요나스 메카스: 찰나, 힐긋, 돌아보다’(2017.11.18.~2018.3.4.)을 비롯한 상영 프로그램들로 소개된 바 있다.
앤 샬롯 로버트슨은 2018년 MMCA필름앤비디오 프로그램 ‘디어 시네마2: 앤 샬롯 로버트슨’(2018.6.6.~6.10)에서 짧게 소개돼 아쉬움을 남겼다.
이번 프로그램에서는 로버트슨이 17년에 걸쳐 자신의 얼굴과 신체의 변화,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 대한 고민과 내밀한 감정을 82개의 필름으로 촬영한 ‘필름 다이어리’ ‘5년간의 일기’(1981~1997) 중 6개 작품이 상영된다.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평범한 삶의 단면을 포착하고 찬미하는 거장들의 작품을 통해 코로나 시대의 삶을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위로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11/18/20201118104205579070.jpg)
[사진=국립현대미술관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