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신전자산업 육성 프로젝트 본격 가동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구미) 최주호 기자
입력 2020-11-21 16:2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신전자산업 육성 프로젝트 공동선언문 채택…발대식 가져

  • 프로젝트 추진 10년 후 3만 명 고용, 6조원 이상 생산유발효과 달성 목표

경상북도는 지역 전자산업의 터닝포인트를 만들기 위해 지난 20일 구미전자정보기술원에서 신전자산업 육성을 위한 공동선언문을 채택하고 지역기업인들과 함께 ‘신전자산업 발대식’을 개최했다. [사진=경상북도 제공]

경상북도는 지역 전자산업의 터닝포인트를 만들기 위해 지난 20일 구미전자정보기술원에서 신전자산업 육성을 위한 공동선언문을 채택하고 지역기업인들과 함께 ‘신전자산업 발대식’을 가졌다고 21일 밝혔다.

경북도와 구미시는 민선7기를 맞아 홀로그램 기술개발 예비타당성 조사, LG화학 구미형 일자리, 5G테스트베드와 스마트산단, 산단대개조, 강소연구개발특구 사업 등을 통해 지역 전자산업의 체질개선을 위해 노력해 왔다.

그 결과 5G중심 융합산업 활성화를 위한 혁신인프라들이 상당부분 구축되는 성과가 있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혁신을 위해 지난해 하반기부터 신전자산업 발굴 및 육성 프로젝트 전략수립을 위한 용역을 진행해 올 7월에 완료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융합얼라이언스(Alliance)라는 산업혁신 플랫폼을 중심으로 4차 산업에 맞는 혁신과제를 선정해 기업중심의 산학연 동맹을 결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4차 산업은 업종 간 융합을 통한 시너지 발생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시도가 지역 산업계에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프로젝트를 본격 가동하기 위해 이날 민관이 모여 공동선언문을 채택하고, 신전자산업 육성을 위해 지자체, 연구기관, 기업들이 각자 역할을 나눠 전자산업 혁신의 물꼬를 트기로 했다.

지자체는 행‧재정적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전담기관인 구미전자정보기술원은 강소기업 육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과 기업 간 협력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노력하며, 참여기업들은 혁신주체로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핵심 부품소재 개발에 역량을 집중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그동안 인프라 구축위주의 사업에서 과감하게 방향을 전환해 기업중심의 혁신생태계를 조성한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특히. 내년부터 7개 분야에 융합얼라이언스 사업단을 구성해 체계적으로 혁신역량 향상을 위해 노력하게 된다.

대표적으로 홀로그램, 리빙케어 가전, e모빌리티 등 4차 산업시대에 성장세가 뚜렷한 산업분야를 중심으로 사업단을 구성한다.

이를 통해 기업들의 기술을 융합해 새로운 혁신제품을 생산하는 등 중소기업의 자생력을 키우는데 집중한다. 이를 통해 10년 후 3만 명 이상의 고용증대와 6조원이상의 생산유발효과 달성이 목표다.

전자산업의 메카인 구미산업단지는 대기업 이탈로 중소기업 중심으로 재편이 되었지만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공장가동률이 반증하듯 여전히 대기업 의존형 생산구조를 탈피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많았다.

이번 프로젝트를 계기로 중소기업은 강소기업으로, 대기업 의존형 생산구조는 강소기업 중심 혁신생태계로 탈바꿈해 단순집적지인 산업클러스터를 탈피하고 개방형 학습생태계인 혁신클러스터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하대성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이번 신전자산업 육성 프로젝트는 인프라 중심의 지역산업정책이 기업중심 혁신생태계 육성 정책으로 변화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경상북도라는 지역이 하나의 혁신브랜드가 될 수 있도록 기업들이 힘을 합쳐 4차 산업의 파도를 넘는 의미 있는 프로젝트 지원을 위해 최선을 다 하겠다”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