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이 24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하고 국내 금융시장에 대해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금융회사 건전성을 면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 차관은 "코스피가 2602포인트를 기록하고 기업 자금조달 여건도 비교적 양호하다"며 "국내 금융시장은 미국 추가 경기부양책 기대, 코로나19 백신 임상 성공 소식, 국내 기업의 실적 개선 기대에 힘입어 외국인 국내주식 순매수세가 지속됐다"며 "CP금리 역시 안정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9월 말 국내은행 대출 연체율은 0.3%로 2007년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으며 저축은행 대출 연체율은 3.8%로 작년 말 대비 0.1%포인트 상승하는 등 아직 양호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실물경제 또한 아직까지 비교적 양호한 모습이지만 국내외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 차관은 "수출은 20일까지 개선흐름이 이어지고 소비자심리지수(CSI)도 2개월연속 큰 폭 상승했다"면서도 "최근 주요국 봉쇄조치 강화로 수출 여건은 여전히 안심할 수 없고 CSI도 최근 거리두기 격상 영향은 반영되지 않은 결과로 다시 위축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는 "정부는 지금 이 순간의 정책대응 하나하나가 방역과 경제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다는 비상한 각오 하에 경제 활력 제고 방안을 비롯해 코로나19 이후 경제·사회 구조변화에 대비한 대응방안을 '2021년 경제정책방향에 담아내겠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금융시장도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심리가 회복되는 모습이지만 불확실성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 차관은 "글로벌 금융시장은 11월 들어 미국 대선 이후 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 등으로 주요국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하며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심리가 회복되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그러나 최근 전세계적인 코로나19 재확산으로 미국, 유럽 등 주요국이 경제 봉쇄 조치를 재개함에 따라 미국 연준과 유럽 중앙은행 등 주요 기관에서는 4분기 이후 경기회복 지연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며 "지난주 미국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5주 만에 증가하는 등 실물경제 영향이 당초 예상보다 장기화되는 모습"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미국 재무부의 정책 변화 가능성은 물론 백신 효과가 가시화될 때까지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고 브렉시트 협상 불확실성 등 시장 리스크 요인도 여전하다"며 "글로벌 실물경제 회복이 정상궤도에 오르기 전까지 지나친 낙관론은 경계하고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