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가 지난해 7월부터 올해 9월까지 국세청이 공개한 100대 생활밀접업종 통계를 분석한 결과, 휴대폰 판매점 개수는 지난해 1만7900개에서 1만8600개로 증가했다. 또한 코로나 이후에도 판매점 수는 오히려 꾸준히 증가세를 타고 있다. 지난 9월 기준 자료는 국세청이 공개한 가장 최신 통계다. 통신업계에 따르면 11월 말 기준 약 1만9000개다.
서울시의 우리 마을 가게 상권분석 서비스 통계에서도 휴대폰 판매점의 생존율은 다른 소매업종에 비해 높은 편이다. 올해 2분기 기준 서울시 휴대폰 판매점의 1년 생존율은 82.6%로, 전체 소매업체 1년 생존율(75.6%)을 넘는다.
국세청과 서울시 통계의 '휴대폰 판매점'은 업종 분류 상 통신기기 소매업(업종코드 523323)으로, 개인 사업자가 운영하는 판매점만 포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휴대폰 유통시장은 크게 대리점과 판매점으로 나뉜다. 대리점은 이동통신3사가 직접 운영하거나 위탁관리를 통해 휴대폰을 판매하는 곳으로, 개통과 기기변경 등 통신 서비스 업무가 가능한 매장이다. 판매점은 대리점으로부터 수수료를 받고 휴대폰 판매만 대행하는 매장이다.
다만 유통업계에서는 통계에 '함정'이 있다고 보고 있다. 코로나 이후 소매업 전체가 어려워지다 보니 사업을 접고 싶어도 매장을 임대하겠다는 사람이 없다는 것이다. 매장을 넘겨받을 사람이 나타나 권리금을 회수할 때까지 사실상 휴업 상태인 판매점이 많다는 설명이다. 위탁 대리점의 경우 대리점 등록허가를 갖고 있으면 가입을 유지한 고객의 요금제 수준에 따라 통신사로부터 관리 수수료를 계속 받기 때문에 영업을 안하더라도 폐업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통계청 관계자도 "해당 통계에는 휴업 상태인 사업자도 포함"이라며 "매출이 발생하지 않는 사업자는 정부가 직권으로 폐업처분을 하기도 하지만, 이는 통계에 바로 반영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통신업계에서는 전체 이동통신 유통시장의 변화도 판매점 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한 통신업계 관계자는 "매장 없이 세미 딜러처럼 1인 사업자로 활동하거나 온라인 판매에만 집중하는 등 최근 영업방식이 달라졌다"고 말했다. 또 다른 통신업계 관계자는 "실제로 오피스텔 같은 일반 매장이 아닌 곳에서 영업하고 있거나, 단속을 나가보면 실제 등록된 주소에 아예 매장이 없는 경우도 있다"며 "이는 불법보조금 단속을 피하기 위한 '음지' 영업이 늘어난 결과"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