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12/07/20201207181606985890.jpg)
정부가 코로나19 재확산 대응을 위해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기존 2.0단계에서 2.5단계로 격상한 6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의 한 대형쇼핑몰에 위치한 식당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연일 거세지고 있다. 방역당국은 다음 주 매일 신규 확진자가 900명 이상씩 쏟아져 나올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결국 시민사회의 자발적인 협조에 방역의 사활이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신규 확진자 증가세가 꺾이지 않으면 다음 주 중으로 수도권 병상마저 동날 수 있다. 병상이 포화상태에 이르면 병원이나 생활치료센터가 아닌 집에서 치료를 받을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은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대본 회의에서 “3차 유행의 정점이 어디까지 올라갈지 가늠하기 어려운 총체적 위기 국면”이라며 “지금 추세라면 1∼2주 뒤에는 일일 확진자가 1000명을 넘길 수 있다는 비관적 전망이 현실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박 1차장은 방역대응의 핵심은 시민사회의 자발적인 협조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수도권은 이미 코로나19 전시상황이다. 수도권 2.5단계에서도 확산세를 잡지 못한다면 전국에 걸친 폭발적 유행이 현실화하고 의료시스템 붕괴로까지 이어질 수 있어 전국적 3단계 조정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 동참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나성웅 중앙방역대책본부 1본부장도 “이번 주엔 550명에서 750명, 다음 주엔 매일 900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며 “지금 우리가 ‘일시 멈춤’으로 유행을 꺾지 못한다면 전국적 대유행으로 팽창할 수 있고 그렇게 되면 우리의 사회활동을 전면 제한하는 최후의 조치밖에 남지 않게 된다”고 말했다.
현재 한명의 감염자가 다른 감염자에게 전파하는 수준을 뜻하는 감염재생산지수는 1.23 수준이다. 이는 확진자 1명이 최소 1명 이상을 감염시킬 수 있다는 뜻이다. 1.0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한 유행이 지속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했다.
김윤 서울대 의대 의료관리학과 교수는 “재생산지수를 보면 신규 확진자가 1000명 가까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며 “2.5단계 효과가 나타나려면 적어도 일주일은 더 있어야 하는데, 그동안 확진자 수가 줄어들기 위해선 시민의 거리두기 참여와 함께 정부 역시 지방자치마다 숙련도 등을 고려하며 역학조사 운영에 대해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확진자 증가에 대응할 병상 수도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 정부가 병상과 생활치료센터 물색에 나서고 있지만 현장에선 확진자 증가세에 비해 시설 확보가 더딘 상황이다. 특히 서울의 병상가동률은 90% 가까이 치솟았다. 중증환자 전담치료 병상은 57개 중 5개만 비어 있다. 방역당국은 상황이 더 나빠질 경우를 대비해 환자가 자기 집에서 격리된 채 치료를 받는 자가치료를 검토하고 있다.
김 교수는 정부가 국립·민간병원의 병상을 더 적극적으로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국에 있는 중환자 병상이 1만개다. 이중 정부가 확보한 곳은 2~3%밖에 안 된다. 감염병예방법에는 정부가 병상을 동원할 수 있는 것으로 돼 있는데, 정부가 그 권한을 적극 사용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병원별 중환자 병상은 매일 20% 비워져 있다. 분원을 포함해 전국에 국립대 병원 15곳에서 보유하고 있는 중환자 병상이 약 1500개 정도 된다. 여기서 200개만 확보해도 지금 병상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중환자 비율이 올라가면 400개를 확보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