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G넥스원이 해군의 기뢰 대항작전 능력을 크게 강화할 ‘수중자율기뢰탐색체(AUV) 체계개발’ 사업에 참여한다.
LIG넥스원은 방위사업청과 AUV 체계개발 사업 계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약 120억 규모로 2023년까지 AUV의 체계개발이 진행될 예정이다.
AUV는 기 계획된 위치로 자율기동하면서 수중 부설된 기뢰 탐색 및 물체에 대한 감시·정찰 임무 수행 등이 가능한 무인이동체를 뜻한다.
미국·영국 등 군사강국들은 주요 항만과 해상교통로를 보호하기 위해 해양에 부설된 적 기뢰를 탐색·제거하는 소해작전 시, 인적·물적 피해의 최소화를 목적으로 AUV 등 무인체계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해당 무기체계가 개발되면 해군에서 안전하고 신속한 기뢰 대항작전 수행은 물론 수중 무인화 분야의 연구개발(R&D) 역량 향상에도 크게 기여하게 될 전망이다.
LIG넥스원은 어뢰, 기뢰, 소나, 항만감시체계 등 다양한 수중 무기체계 개발과 사업관리 과정에서 축적한 기술력과 경험을 최대한 활용해 AUV의 개발을 완료한다는 목표다.
김지찬 대표이사는 “다양한 해양 무기체계의 R&D 및 국산화를 위해 노력해왔다”며 “앞으로도 전사 역량을 결집해 해양 무인체계의 획기적인 발전에 보탬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LIG넥스원은 방위사업청과 AUV 체계개발 사업 계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약 120억 규모로 2023년까지 AUV의 체계개발이 진행될 예정이다.
AUV는 기 계획된 위치로 자율기동하면서 수중 부설된 기뢰 탐색 및 물체에 대한 감시·정찰 임무 수행 등이 가능한 무인이동체를 뜻한다.
미국·영국 등 군사강국들은 주요 항만과 해상교통로를 보호하기 위해 해양에 부설된 적 기뢰를 탐색·제거하는 소해작전 시, 인적·물적 피해의 최소화를 목적으로 AUV 등 무인체계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LIG넥스원은 어뢰, 기뢰, 소나, 항만감시체계 등 다양한 수중 무기체계 개발과 사업관리 과정에서 축적한 기술력과 경험을 최대한 활용해 AUV의 개발을 완료한다는 목표다.
김지찬 대표이사는 “다양한 해양 무기체계의 R&D 및 국산화를 위해 노력해왔다”며 “앞으로도 전사 역량을 결집해 해양 무인체계의 획기적인 발전에 보탬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