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을 중심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쏟아지면서 서울과 경기에 병상을 배정 받지 못해 집에서 기다리는 환자들이 생겨났다. 다급한 서울시가 컨테이너 병상 설치를 시작한 데 이어 미술관이나 체육관도 치료 공간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을 9일 밝혔다.
하지만 정부는 체육관 등의 활용 방안에 대해 “(유럽이나 중국 우한과 같이) 환자가 하루에 몇 천명 나오는 상황인 경우”라는 소극적 대처로 논란이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병상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우리가 미국, 유럽처럼 되지 않는다는 보장은 없다”고 지적했다.
◆서울시 “중증환자 병상 6개 남아”
송 과장은 “서울의료원 이동병상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차단벽이 설치되며 인근 어린이집 및 병원직원들과의 이동동선은 철저히 분리된다”며 “잠금장치 및 폐쇄회로(CC)TV, 경찰과의 협조 등을 통해 외부인의 접근이 차단된다”고 전했다. 이어 “현재 이동병상의 안전한 운영 및 방역조치를 위해 감염관리 전문가 자문을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 “조금 더 시간을 두고 검토”··· 전문가 “일단은 준비해야”
서울시의 응급 처방에도 정부는 컨테이너 병상을 비롯해 체육관, 컨벤션센터 확보 등에 미온적인 모습을 보였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체육관, 컨벤션센터 병상 활용 방안에 대해 “(중환자 거점병원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이상의 단계로, 하루에 몇 천명 이상 환자가 나오는 경우”라며 “중환자의학회에서 제시한 부분은 조금 더 시간을 두고 검토해야 된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증환자의학회가 제시한 것은) ‘3단계의 대안으로서 부득이한 경우에 체육관이나 컨벤션센터를 중환자 병상으로 하자’는 의견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정부가 신속히 나설 것을 촉구했다. 이재갑 한림대 감염내과 교수는 “유럽이나 미국과 같은 상황이 될 수도 있다. 일단은 (병상) 준비를 해두는 것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며 “실제 그런 상황이 되면 써야 할 수도 있는데, 시설 구조도 알고 있어야 하고 설계도 해야 한다. 조짐이 안 좋다면 빨리 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한중증환자의학회 관계자는 "체육관, 컨벤션센터 등을 이용한 대형 임시병원을 병행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정부는 브리핑 등을 통해 유럽, 미국과 유사한 3차 대유행을 강조하면서도 그 국가들에서 운영했던 대형 임시병원에 대한 논의나 계획은 없다”고 꼬집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