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사기로에 선 P2P] 심상찮은 글로벌 시장...중국 업체 사실상 퇴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서대웅 기자
입력 2020-12-11 08: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중국 핀테크 공룡 루팩스는 지난해 P2P대출 사업에서 완전히 손을 뗐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전세계 P2P금융 시장이 위태롭다. P2P금융 발원국인 영국과 미국에서 주요 P2P업체가 대출을 중단하는가 하면 대규모 구조조정에 나섰다. 중국 P2P시장은 사실상 퇴출당했다.

10일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미국 P2P대출 시장의 부실 정도를 나타내는 손상률(impairment rate)은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며 급증했다. 코로나19 이전 6%였던 손상률은 코로나 전염이 급격히 확산하던 4월 16.5%까지 상승했다. 코로나19로 경제가 위축되며 적지 않은 대출자들이 일자리를 잃거나 임금 감소 등을 겪으며 채권이 부실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손상률은 9월 중순까지 8.3%로 감소했으나, 코로나 확산 정도에 따라 다시 오를 가능성도 있다.

대규모 구조조정도 진행했다. 글로벌 P2P금융 1위 업체인 랜딩클럽(Lending Club)은 직원의 30%인 460명을 해고했고, 경영진 임금은 25% 줄였다. 이 회사 최고경영자(CEO)인 스콧 산본(Scott Sanborn) 임금도 30%가 감축됐다.

P2P금융의 발원지인 영국에서는 대출이 중단되는 사태에까지 이르렀다. 전세계 P2P금융 '1호 회사'인 조파는 리스크가 적은 대출만 신규 취급하고, 리스크가 큰 대출은 모두 중단했다. 펀딩써클(Funding Circle)은 지난 4월부터 개인투자자 대상의 신규 투자를, 마켓파이낸스(Market Finance)는 비즈니스 대출 상품을 일시적으로 중단했다.

한때 P2P업체만 5000여곳에 달했던 중국에서는 P2P금융 시장은 사실상 사라졌다. 중국 당국의 지원을 받아 2015~2017년 연평균 1000개 이상 업체들이 탄생했지만, 대출사기·불법자금 조달 등 문제가 잇따르자 당국 눈밖에 나며 퇴출됐다는 분석이 대체적이다.

중국 현지 매체들도 이 같은 소식을 보도했다. 중국경제주간은 지난달 23일 "P2P대출업이 5년간 대대적으로 정리되며 P2P업체 사망률이 100%에 달한다"고 전했다. 차이나데일리는 지난달 30일 류푸서우(劉福壽) 중국 은행보험감독관리위원회 수석 변호사의 발언을 인용해 중국에서 운영 중인 P2P업체가 없다고 보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