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12/16/20201216154048704755.jpg)
15일 요양원을 중심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집단 발생한 전북 김제시체육관 앞에 설치된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검체 검사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000명대로 치솟았다. 지난 13일(1030명) 이후 사흘 만에 다시 1000명을 넘어섰고, 사망자 수도 연일 10명을 웃돌고 있다.
이에 방역당국은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격상을 두고 고민에 빠졌다.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거리두기 3단계 격상에 대한 요구가 거세지고 있지만, 3단계가 자영업자 등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거리두기 3단계는 민간과 공공 모든 부문에서 필수적인 인원을 제외한 대다수 국민이 집에 머무르는 사실상 ‘봉쇄 수준’이다. 때문에 2.5단계에서도 고사 직전으로 내몰린 소상공인, 자영업자는 물론 일반 시민들 역시 피해가 클 수밖에 없다.
문제는 종교시설과 요양병원 등 감염 취약시설을 비롯해 스키장과 같은 다중이용시설에서도 집단감염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는 점이다.
강원도에 따르면 이날 평창군 스키장 아르바이트생 4명 등 5명이 추가로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다.
앞서 이 스키장에서는 아르바이트생 4명과 이용객 1명, 스키장에서 위탁 운영 중인 스키학교 관련 2명 등 7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날 오후 현재까지 확인된 스키장 관련 확진자는 16명이다.
같은 날 집단감염이 발생한 전북 김제 가나안요양원에서는 추가 확진자가 9명 나왔다. 전북도에 따르면 김제시 가나안요양원에서 이날 오전 10시 현재까지 총 71명이 확진됐다. 지난 14일 가나안요양원에서는 입소자 2명이 확진된 후 이튿날인 15일 69명이 무더기로 확진됐다.
이날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요양병원에서도 집단감염 사례가 보고됐다. 고양시는 일산동구 미소아침요양병원에서 30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이날 밝혔다.
국내 코로나19 상황이 긴박하게 돌아가면서 정부도 거리두기 3단계 격상을 배제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민생경제를 고려해야 한다는 조건도 달았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이날 서울시청에서 주재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무작정 3단계 조치를 단행하기보다는 경제와 민생에 미치는 파급 효과를 감안해 분야별로 지원대책을 준비해 둘 필요가 있다”면서 “정부는 현재의 거리두기 단계를 제대로 이행하려고 총력을 다하고 있지만 상황에 따라 마지막 수단인 3단계 상향 결정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