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시호 추출물서 신경병증성 만성통증 치료 후보물질 발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수원)김문기 기자
입력 2020-12-18 10:4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마약류를 대체하는 새로운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제의 개발 가능성 제시

이미지 확대
늦가을에 수확한 시호 뿌리[사진=경기도 제공]

늦가을에 수확한 시호 뿌리[사진=경기도 제공]


경기도는 약용식물인 시호(Bupleurum falcatum) 추출물을 이용한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 후보물질을 발굴했다고 18일 밝혔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바이오센터 소재개발팀(교신저자 최용문 박사)은 논문에서 한반도 자생 약용 식물인 시호 추출물과 추출물의 주성분인 사이코사포닌이 동물실험에서 신경병증성 통증을 개선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항암제 화학요법으로 유발된 신경병증성 통증 모델에서 시호 추출물은 정상군 대비 60~80% 정도 통증을 개선하는 효과를 보였으며, 당뇨병으로 유발된 신경병증성 통증 모델에서는 사이코사포닌을 투여했을 때 30분 안에 유의미한 수준으로 통증이 개선된 것을 확인했다.

'시호'는 미나리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풀이며, 한방에서는 뿌리를 약재로 사용한다. 감기 인플루엔자 급성 기관지염 등에 해열 소염제로 이용되고 있으며, 월경통과 하복통에 진통 효능이 있다고 알려졌다. 

디지털캠프광고로고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1월과 이달에 국제 저명학술지인 ‘피토테라피 리서치(Phytotherapy Research)’ 및 ‘플란타 메디카(Planta Medica)’에 각각 게재됐다. 또 관련 연구결과는 2018년과 2019년에 각각 특허 등록과 출원을 마쳤다.

이번 성과는 경기도가 추진한 ‘바이오 상용기술 고도화플랫폼 구축사업’과 ‘국내외 천연물 및 합성물 소재 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진행된 연구의 결과다.

신경병증성 통증은 신경계의 일차적인 병변이나 기능 이상 때문에 생기는 통증이다. 특히 당뇨병, 항암제 화학요법, 대상포진 등에 의한 말초신경 손상이 주요 병인이다. 난치성이며 만성적인 특성으로 환자의 삶의 질 저하, 사회 적응력 저하 때문에 더 많은 치료분야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전 세계 인구의 약 15%가 신경병증성 통증 환자로 추정되며, 당뇨병 및 암 환자 증가, 인구 고령화 등의 요인으로 신경병증성 통증 시장은 계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연구결과에 대한 사항은 경기도 과학기술과 연구지원팀이나 경기바이오센터 소재개발팀으로 문의하면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디지털캠프광고로고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