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백신 공급 계약 체결 사실을 발표한 가운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미국·EU·인도 등 주요 국가별 코로나19 백신 확보 현황을 공개했다.
신현영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미국 등 12개국에서 확보한 코로나19 백신은 약 50.6억 도즈로, 이 중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18.5억 도즈(36.6%)로 가장 큰 규모를 차지했다.
아스트라제네카의 뒤를 이어 △노바백스 12.9억 도즈(25.4%) △화이자 6.2억 도즈(12.2%) △사노피-GSK 5.3억 도즈(10.5%) △얀센 3.9억 도즈(7.7%) △모더나 3.8억 도즈(7.6%) 순으로 나타났다.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을 가장 먼저 승인하고 접종을 시작한 미국도 전체 확보한 백신 물량 중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이 차지하는 비율은 두 회사를 합쳐 2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EU의 경우 34%, 영국은 15%에 그쳤다.
신현영 의원실 관계자는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 공급 비율이 이렇게 낮은 것은 mRNA 백신이 승인은 가장 먼저 났지만, 실제 생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며 "외신에 따르면 미국과 영국 등도 일반 시민 대상 접종은 아스트라제네카와 노바백스 등을 통해 진행될 예정이고 확보한 물량도 아스트라제네카가 제일 많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신 의원은 "화이자나 모더나 백신을 조금 더 일찍 확보했다면 좋았을 것이란 아쉬움은 있지만, 아스트라제네카와 같이 안전성 높은 벡터 백신을 많이 확보한 정부의 판단에는 합리적인 근거가 있다고 볼 수 있다"며 "전 세계 주요 국가의 백신 확보 현황을 보면 우리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 역시 비슷한 판단과 준비를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앞으로 백신 물량 확보 및 계약 체결도 중요하지만 △콜드체인 체계 구축 및 접종 기관 준비 △우선 접종 순위 결정 △이상 사례 발생 시 의료적 대응 및 보상체계 마련 등 훨씬 더 중요한 문제가 산적해 있다"며 "백신이 실제 한국에 들어왔을 때 빠르고 효율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접종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는 물론 여야가 힘을 합해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현영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미국 등 12개국에서 확보한 코로나19 백신은 약 50.6억 도즈로, 이 중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18.5억 도즈(36.6%)로 가장 큰 규모를 차지했다.
아스트라제네카의 뒤를 이어 △노바백스 12.9억 도즈(25.4%) △화이자 6.2억 도즈(12.2%) △사노피-GSK 5.3억 도즈(10.5%) △얀센 3.9억 도즈(7.7%) △모더나 3.8억 도즈(7.6%) 순으로 나타났다.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을 가장 먼저 승인하고 접종을 시작한 미국도 전체 확보한 백신 물량 중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이 차지하는 비율은 두 회사를 합쳐 2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EU의 경우 34%, 영국은 15%에 그쳤다.
신현영 의원실 관계자는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 공급 비율이 이렇게 낮은 것은 mRNA 백신이 승인은 가장 먼저 났지만, 실제 생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며 "외신에 따르면 미국과 영국 등도 일반 시민 대상 접종은 아스트라제네카와 노바백스 등을 통해 진행될 예정이고 확보한 물량도 아스트라제네카가 제일 많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신 의원은 "화이자나 모더나 백신을 조금 더 일찍 확보했다면 좋았을 것이란 아쉬움은 있지만, 아스트라제네카와 같이 안전성 높은 벡터 백신을 많이 확보한 정부의 판단에는 합리적인 근거가 있다고 볼 수 있다"며 "전 세계 주요 국가의 백신 확보 현황을 보면 우리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 역시 비슷한 판단과 준비를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앞으로 백신 물량 확보 및 계약 체결도 중요하지만 △콜드체인 체계 구축 및 접종 기관 준비 △우선 접종 순위 결정 △이상 사례 발생 시 의료적 대응 및 보상체계 마련 등 훨씬 더 중요한 문제가 산적해 있다"며 "백신이 실제 한국에 들어왔을 때 빠르고 효율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접종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는 물론 여야가 힘을 합해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