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월 20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국내 첫 발생 후 누적 확진자 6만3000명을 넘어섰다. 해를 넘겨 이어지고 있는 3차 대유행에 요양병원, 교정시설 등을 고리로 한 집단감염은 역시 이어지고 있다. 아울러 사회·경제적 피해 역시 현재 진행형이다.
3일 정세균 국무총리는 코로나19 확산과 관련해 “앞으로 2주간이 코로나19 확실한 안정세를 달성할 수 있는 결정적 시기"라고 말했다.
정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어제 정부는 거리두기 단계를 2주 더 연장하되, 5인 이상 모임 금지 같은 연말연시 특별대책의 핵심조치를 포함하고 일부 방역수칙은 실효성있게 보완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병상 확보
중앙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수도권에 하루 이상 배정을 대기하고 있는 코로나19 환자는 2일 0시 기준 10명이다.
3일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은 3일 중대본 정례브리핑에서 “지난 12월 13일 1만 병상을 확보하겠다는 수도권 긴급의료대응계획을 수립한 후 20일간 총 1만 2000여 병상을 확충해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병상확보는 많을수록 좋다는 의견이다.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유행에 의료체계 붕괴를 막기 위해서는 병상 확보가 가장 우선되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달 대한의사협회는 코로나19 3차 유행 대책 전환을 위한 긴급 온라인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가 예산을 따지지 말고 코로나19 전용병원 구축 및 병상을 확보해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한 감염병 전문가는 “의료 현장에서는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병상이 한계를 보이고 있다”면서 “정부 발표보다 더 많은 병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코로나19 사망자를 줄이기 위해서라도 정부는 병상 확보에 더욱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감염병 전문가 육성
이번 코로나19 유행 속에서 감염병 전문가의 필요성이 부각됐다. 많은 감염병 전문가들이 사스, 메르스 등을 비롯해 이번 코로나19 등 감염병 억제에 큰 역할을 했다. 앞으로 코로나19 종식을 위해서도 감염병 전문가들의 통찰력, 결단력 등은 더욱 필요한 부분이다. 이 것이 감염병 시대를 살아가는 미래 세대를 위해 감염병 전문가 육성이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그간 감염병 전문가 육성에 대한 시도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지난해 21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이 ‘감염병 대응 강화’와 ‘의료인력 확충’을 골자로 하는 보건의료 공약을 내걸었다. 공약에는 감염병 전문병원 및 음압병상 확대와 의사과학자 육성 방안 등을 포함했다.
당시 민주당은 감염병 관련 R&D에 대한 집중 투자를 통해 전문 연구인력을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총선 이후 1월 현재까지 제대로 된 논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그간 감염병이 유행할 때마다 정치권에서는 감염병 전문 인력 육성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됐지만, 정책으로 이어진 경우는 거의 없다. 감염병이 종식되면 정치권의 관심도 사라지기 때문이다.
의료계는 위드 코로나 시대에 맞춰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부와 국회, 의료계가 협렵을 통해 감염병 전문가를 육성하고 전문 병원을 설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백신 확보
코로나19 종식을 위해서는 백신이 가장 중요하다. 치료제도 필요한 부분이지만 의료계에서는 완전 종식을 위해서는 백신이 확보가 우선돼야 한다고 조언한다.
백신은 집단 면역의 시작점으로, 치료제가 코로나19 경증·중증 환자를 완치해 사망자를 줄이는데 목표를 뒀다면 백신은 더 이상을 확산을 억제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정부도 백신 공급이 시작되는 2월에는 코로나19에 대한 공격적인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일부에서 정부가 백신 늑장 확보에 대한 지적이 있었지만 백신 확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성과 유효성 두 가지를 모두 갖춘 백신을 확보하는 것이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백신은 안전성을 확인하는 것이 국민 건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라며 “백신 확보 속도만큼이나 안정성 있는 백신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에 대한 지저과 함께 백신 확보에 늦게 나설 수밖에 없었던 구조적인 문제 개선에 대한 고민도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