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라임자산운용과 옵티머스자산운용의 대규모 환매중단 사태로 홍역을 앓았던 금융투자업계는가 올해 경영 키워드로 고객 신뢰를 꼽았다. 특히 신뢰도 향상의 경우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투자자들의 가장 중요한 선택 기준이 되었기 때문이다.
정영채 NH투자증권 사장은 4일 신년사를 통해 “주식시장의 주요 세대가 20~30대로 변화되고 있고 자산관리서비스는 대중화 되고 있다”면서 “고객과 만나는 방식 또한 변했고 고객이 원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범위도 확대되고 고객이 서비스를 선택하는 기준도 달라지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고객을 위해 일한다는 진정성을 증명하고, 차별화된 가치를 느낄 수 있는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기본”이라며 “좀 더 치밀하게 고객을 보호할 수 있는 리스크 관리 체계를 갖추고, 나아가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바른 기업이 돼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고객과 만나는 프론트 조직 뿐 아니라 회사의 내부 시스템도 이러한 고객가치를 중심으로 운영돼야 한다”면서 “제한된 리소스의 배분 기준, 성과의 인정과 보상의 기준에서도 고객가치가 최우선으로 적용되도록 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최현만 미래에셋대우 수석부회장은 국내 1등에서 벗어나 글로벌 톱 티어(Global Top-tier) 투자은행(IB)으로의 도약을 위해 ‘도전과 혁신을 통한 G.R.O.W.T.H.’를 선포했다. 미래에셋대우 역시 성장동력으로 해외투자와 함께 고객들의 자산관리(WM) 확대를 꼽았다. 이 역시도 고객 신뢰가 바탕이 돼야 한다.
최 부회장은 “작년처럼 환경이 어려워질수록 회사마다 리스크관리 능력에 차이가 난다. 리스크관리 시스템을 더욱 공고히 하고 프로세스를 다시 한번 살펴봐야 한다”면서 “철저하게 리스크관리에 기반을 두고 모든 비즈니스를 전개하고, 항상 수익과 함께 리스크를 살펴야 한다”라고 주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