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WAVE, 대한류 시대가 온다] ⑦ K방역, 진짜 세계 리드 기회는 지금부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태림·전환욱 기자
입력 2021-01-06 00:1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K진단키트 생존 키워드…연구개발·차별화·인수합병

  • 코로나19, 독감처럼 연례행사 가능성…검사영역 커질 듯

  • 진단키트, 선제검사·접종 후 항체 작동여부 파악 등 활용

  • 규모의 경제에 진입…국가주도 통합관리 필요

  • K브랜드 프리미엄 발판 바이오 강국 도약 기회

전 세계가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속에서 일군 한국의 경제 성과에 주목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이라는 악재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한국의 성장률은 -1.1%로 잠정 집계됐다. OECD는 "한국은 효과적인 코로나19 방역조치로 OECD 회원국 중 성장률이 가장 작은 폭으로 감소했다. 정부의 대규모 재정지원으로 소비가 살아나고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이 회복됐다"고 평가했다. OECD는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로 2.8%를 제시했다. 미국(3.2%), 일본(2.3%), 독일(2.8%), 프랑스(6%), 영국(4.2%) 등 OECD 주요국과 비교하면 다소 떨어지거나 비슷한 수치지만, 이들 국가의 고성장이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한 타격으로 3~11% 역성장한 데 대한 반동인 점을 고려하면, 한국은 방역과 경제성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훌륭히 잡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올해부터 코로나19 백신 보급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고 경기가 되살아날 것으로 기대된다. 많은 한국 기업들이 코로나19라는 환난을 극복하고 대한민국의 파고인 'K-WAVE'를 전 세계에 파급시킬 채비를 마쳤다. 지금까지 한국의 경제 성장은 반도체, 스마트폰, 소재·부품·장비(소부장)라는 3대 효자 산업이 이끌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기에 미래 친환경 자동차인 수소차가 경제 성장의 새 원동력으로 합류한다. 조선, 건설기술도 경기가 풀리면서 반등할 전망이다. 차세대 이동통신 5G, 진단키트 등 한국이 전 세계를 선도하는 기술과 게임, 영화, K-팝처럼 전 세계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K-콘텐츠 산업도 빼놓을 수 없다. 마이크로FN+지급결제, MTS, 공정거래법+전자세정 등 한국의 앞선 디지털 환경도 널리 파급시킬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지는 코로나19를 극복하고 다시 기지개를 켜고 있는 한국 경제의 주역들을 집중 조망하기 위해 'K-WAVE가 온다'를 준비했다. <편집자주>

◆ 글 싣는 순서

①반도체
②스마트폰
③수소차
④소재‧부품‧장비
⑤5G
⑥조선
⑦진단키트
⑧게임
⑨푸드
⑩건설기술
⑪마이크로FN+지급결제
⑫MTS
⑬공정거래법+전자세정
⑭영화
⑮K-POP
⑯전문가 인터뷰<끝>
 

임시선별진료소 검체 채취 모습. [사진=연합뉴스]

 
국내 진단업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속에서 약진했다. 일부 기업은 매출이 1년간 10배 가까이 느는 ‘퀀텀점프(대도약)’를 달성했다.

하지만 백신이 나오고 코로나19 대응력이 높아지면서 한국산 진단키트(K-진단키트)가 ‘한철 장사’로 끝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미 시장 전반의 거품이 꺼지면서 옥석 가리기가 진행되고 있다.

씨젠, 솔젠트, 수젠텍 등 업계 경영진과 경제 전문가들은 “진단키트 시장은 이제 막 시작했다”고 진단하며, K-진단키트 생존 키워드로 ‘연구개발(R&D)·차별화·인수합병(M&A)’을 지목했다. 정부와 기업이 국내 기초·원천연구를 비롯한 감염병 진단 인프라 확충 등에 더욱 주력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5일 시장조사업체인 그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감염병 진단키트 시장 규모는 198억 달러(약 21조5090억원)다.

이부형 현대경제연구원 산업협력실 이사는 “코로나19 사태로 진단키트가 보편화된 시장으로 자리를 잡았다. 이젠 하나의 산업으로 봐야 한다”고 평가했다.

유재형 솔젠트 대표는 “국내의 경우 신종플루가 진단키트 시장의 저변을 넓히는 데 크게 일조했고, 코로나19로 전 세계 인식 자체가 완전히 바뀌었다. 이젠 선진국 일부 국가에만 진단키트 시장이 자리 잡은 게 아니라, 남미·아프리카 등 전 세계 곳곳에 진단 시스템이 속속 도입됐다. 1년 새 시장이 100배 이상 커진 셈”이라고 분석했다.

코로나19 백신이 속속 나오고 있지만 진단키트 업계는 향후 시장성이 충분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민철 씨젠 부사장(전 대한병리학회장)은 “진단시장은 오랜 시간 동안 꾸준히 커지고 있다. 이는 올바른 치료를 위해서 정확한 진단이 우선 시행돼야 하기 때문”이라며 “또한 치료를 받더라도 해당 치료가 유효했는지 여부를 알기 위해선 정확한 진단을 통한 모니터링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손미진 수젠텍 대표도 “모니터링(선제검사), 백신 접종 후 항체 작동 여부 파악 등 치료제 시장을 빼고 진단키트가 활용된다. 또 이미 변이가 이뤄지고 있는 코로나19가 결국 풍토병이 돼 인플루엔자(독감)처럼 매년 재유행할 수 있다. 백신이 나와도 검사영역이 커질 수밖에 없는 이유”라고 말했다.

유재형 대표는 이미 진단키트 시장은 규모의 경제로 들어섰다고 분석했다. “낮은 진입장벽과 백신·치료제에 비해 적은 수익 구조가 시장 생존의 문제로 꼽혀왔지만, 앞으로도 끊임없이 코로나 변이가 나오고, 새로운 감염병이 나올 수 있다. 세계 각국은 이에 대비하기 위해 예산 책정을 하고 준비를 해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업계는 일부 기업을 제외하고 국내 진단검사의 질적 수준이 아직 높지 않다고 지적했다. 국내 진단기업이 세계 시장에서 생존하기 위해선 차별화된 기술력과 유통망을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를 위해 정부가 연구개발을 적극 지원하고 인허가에 대한 빗장을 풀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실제 국내 감염병 진단 원천기술은 약하고 특허도 미미한 상태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0년 동안 한국이 미국에 등록한 감염병 진단 관련 특허 건수는 39건으로, 전체 특허(3548건)의 1.1% 수준에 불과하다.

이민철 부사장은 “개발 생산된 제품이 세계시장에서 적시에 자유 경쟁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연구개발, 인허가 등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정부가 현재의 방역 모범국가로서의 면모를 살려 장기적인 안목으로 적극적인 협조와 지원을 해줘야 세계 시장에서 앞설 수 있다”고 했다.

손미진 대표도 빠른 인허가가 필요하다고 동의하면서 “각 기업은 글로벌 시장에 내놓을 킬러 아이템을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면도기가 있다면 그에 맞는 날이 있다. 키트뿐 아니라 차별화된 진단 인프라(플랫폼)를 구축해야 한다. 각 나라 곳곳에 플랫폼이 만들어지면, 코로나 외에 다른 감염병도 검사할 수 있는 그 회사의 키트를 수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유재형 대표는 국가 주도의 통합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전체 시스템이 유기적으로 운영되는 산·학·관 플랫폼이 필요하다. 국가가 주도적이면서도 민간 기업들이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환경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경제 전문가들은 백신이 나오면서 옥석 가리기가 시작됐다고 진단하면서, 시장의 자연스러운 구조조정으로 대형화가 진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자체 성장보다 M&A를 통해 빠르게 사업군을 넓히고 특정 질병의 발병 유무를 진단할 수 있는 생체표지자(바이오마커)를 확보해 이에 맞는 진단제품을 내놓을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부형 이사는 “수익이 많이 나는 곳은 선진국인데, 안정화된 코로나 백신이 나오면 선진국에선 백신을 접종하게 돼 진단키트 시장이 상대적으로 쪼그라들 수밖에 없다. 게임체인지가 된다”고 분석하면서도, “다만 개도국은 진단키트 수요가 있을 것이다. 그동안 진단키트 업체들은 이번에 얻은 수익으로 연구개발과 M&A를 통해 코로나19 외에 사업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바이오 업체 특성상 한번 터지면 대박이 나지만, 엄청난 재투자가 또 이뤄져야 한다. 이 부분이 안 되면 결국 좀비기업이 되는데, 업계 전반에 걸쳐 좋은 게 아니다. 경쟁력을 떨어뜨린다”고 덧붙였다.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과 교수도 “제약·바이오 업계의 향후 성장 전략으로 ‘규모의 경제’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그는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지난해 진단키트로 급성장했다. 지난해 시총 1조원 이상 기업이 30여 개나 된다. 올해 상반기까지도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호재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문제는 하반기다. 2~3개 기업들이 기술력이나 자본력에서 M&A를 통해 합종연횡하는 게 효과적일 것”이라고 조언했다.

제약·바이오 업계는 진단키트의 활약을 발판으로 K-바이오가 진단키트 시장을 넘어 바이오헬스케어 시장 전체 성장의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황주리 한국바이오협회 미래성장부문장은 “바이오헬스 수출액이 사상 첫 100억 달러를 돌파했다. 기술수출액은 10조원을 넘었다. 우리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물 들어올 때 진단키트로 노를 저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K-진단키트로 만든 ‘국가브랜드 프리미엄’을 지렛대로 이용해 진단, 바이오시밀러를 넘어 바이오헬스케어의 선두주자로 입지를 확고히 할 좋은 기회가 됐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