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재 솔라스테이션(서울형 집중충전소)[사진 = 서울시]
전기차 보급을 확대하고 전기차 이용시민의 편의를 높인다는 목표다. 이로써 서울시내 전기차 급속충전기는 총 789기까지 늘어났다.
200기 중 51기(85%)는 지하철역, 구청 등 17개 공영주차장에 집중 설치됐다. 이 밖에 서울시청 등 관공서, 송월동 공공 차고지 등 공공시설에도 들어섰다.
서울시는 대시민 설문조사를 통해 전기차 이용자들이 실질적으로 원하는 충전소 위치와 평상시 느끼는 불편사항 등을 적극 반영했다고 밝혔다.
주거지 외, 충전소 설치를 가장 희망하는 장소로는 '주요 공영주차장'(35%)이 꼽혔다. 전기차 구입에 있어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꼽힌 것은 ‘충전소 부족’과 ‘느린 충전속도’ 등이었다.
서울시는 공영주차장 12개소 등 13개소에 민간사업자 지원을 통해 급속충전기 29기를 설치·운영한다.
공영주차장 내 전기차 충전기를 이용할 경우 '서울특별시 주차장 설치 및 관리 조례'에 따라 1시간 주차요금이 면제된다.
서울시는 올해도 민간사업자 지원으로 급속충전기 20기 이상을 설치할 계획이다.
직접 설치·운영하는 공용 급속충전기를 서울시청 별관 서소문청사, 송월동 공공차고지, 중랑구청에도 추가 설치한다.
시는 지난 2017년부터 구청사, 공영주차장 등에 공용 급속충전기를 설치해왔다. 이번 3개소 추가로 총 17개소까지 충전소가 확대됐다.
17개소에 설치된 급속충전기 29기는 한시적으로 무료 운영된다. 시민들의 충전요금 부담을 덜기 위한 조처다.
대기 없이 24시간 이용 가능한 ‘서울형 집중충전소’도 8개소를 추가 구축한다. 급속충전기 24기가 들어선다.
이 밖에도 '완속충전기 설치 보조사업'을 시작, 시민 신청을 받아 아파트(공동주택), 오피스텔 등 주차장에 총 100기 설치를 지원한다.
조완석 서울시 기후변화대응과장은 "새해에도 전기차 이용 시민들의 목소리를 적극 수렴해 편리한 충전환경을 만들겠다"며 "이로써 친환경차가 더 많이 보급되고 서울 도심 미세먼지 저감·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위기 대응도 가능해질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