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저서 ‘제로이코노미’를 통해 우리나라 청년들이 어렸을 때부터 어떤 일을 할지 진로를 정하고, 관련 직무 경험을 쌓도록 하는 일 경험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런 일환으로 중·고등단계부터 진로를 결정해 직무훈련 기회를 주는 '일학습병행제'가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정부는 지난 2014년 한국형 도제시스템인 일학습병행제를 도입해 기업에는 숙련된 인력을, 청년에게는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해 왔다.
채용된 기업에서 현장 훈련과 동시에 학교에서 학습도 하는 '일학습병행제'에 참여한 인원은 2019년 기준 9만명을 넘은 것으로 조사됐다.
고용노동부와 산업인력공단에 따르면 일학습병행제 참여자는 2019년 12월 기준으로 9만1195명(누적 인원)으로 집계됐다. 일학습 병행 참여 기업은 1만5369곳이었다. 사업 도입 첫 해인 2014년(1897곳)보다 8배를 넘는 규모다.
참여 기업을 업종별로 보면 로봇을 포함한 기계업이 4590곳(29.9%)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전기·전자업(2145곳)과 정보·통신업(1877곳)이 뒤를 이었다. 규모별로는 20∼49인 기업(5462곳)과 20인 미만 기업(4734곳)이 많았다. 제조업에 속하는 중소기업의 참여율이 높았다.
전문가들은 일학습병행제처럼 젊은 시절 직무경험,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 취업과 연계할 수 있는 일자리 정책이 지속적으로 발굴돼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김진경 국가교육회의 의장은 "교실에 엎드려 잠만 자는 중하위권 아이들도 학업에 의욕을 가질 수 있도록 중고등학교에서 실질적인 직업 교육과 진로 교육이 활성화돼야 한다"며 "이제는 직업교육 경로를 통해서도 발전 경로를 보장해주는 틀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도 "최근 몇 년간 제도변화로 많이 늘어난 노동비용과 노동 경직성으로 기업들이 고용을 늘리기 어려운 상황이어서 이 문제를 탄력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며 "재정 투입도 신기술로의 산업 전환에 맞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