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의 양잠산업이 홍잠산업으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상주) 피민호 기자
입력 2021-01-19 15:3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입는 양잠에서 먹는 양잠으로

  • 홍잠 인터넷 검색어 1위 등극

홍잠분말[사진=상주시 제공]

양잠산업이 발달해 삼백의 고장(쌀ㆍ누에고치ㆍ곶감)으로 불린 상주시가 ‘홍잠’ 산업 도시로 변신하고 있다.

홍잠(弘蠶, 널리 쓰이는 양잠)은 1970년대 화학섬유에 밀려 명주산업이 쇠퇴하자 이를 살리기 위한 것으로 누에를 이용해 다양한 제품을 만드는 산업을 의미한다.

상주시에 따르면 상주에서 누에를 기르는 농가는 25호이며 누에의 먹이가 되는 뽕나무(뽕잎)를 재배하는 농가를 합칠 경우 모두 96호(44ha)에 이른다.

이 가운데 현재 3∼4호가 홍잠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데 주로 홍잠 분말을 제조해 대형마트 온라인몰 등에 납품한다.

한 양잠 농가는 “청정 환경에서만 자라는 누에를 생산하고 분말 가공해 홍잠 제품으로 판매하고 있는데 요즘 코로나19로 인해 기능성 식품을 찾는 사람이 증가하면서 주문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홍잠은 누에가 고치를 짓기 직전 수증기로 익혀 동결 건조한 것을 말하는데 단백질, 오메가3 등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파킨슨병의 주요 증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농촌진흥청의 발표와 함께 최근 포털사이트에서 홍잠 건강 분말이 인기 검색어 1위에 오르는 등 상주산 홍잠 제품이 주목받고 있다.

홍잠은 건강식품 외에 보습제ㆍ인공고막 등 의료용 원료로 쓰이며, 고치에서 뽑은 명주실은 가야금 줄로 만들어진다.

뽕나무 열매인 오디는 장아찌와 빵ㆍ분말로, 누에고치에서 뽑은 실은 스카프ㆍ한복과 다양한 소품 제작에 활용된다.

시관계자는 “양잠은 의류 뿐 만 아니라 식품 및 의학용 등 활용 분야가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며 “경상북도 잠사곤충사업장, 한복진흥원과 협력을 통해 양잠산업 활성화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