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도 ESG 강조... 2050 탄소중립 향한 10대 기술 찾는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강일용 기자
입력 2021-01-20 12: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과기정통부, 올해 업무보고서 탄소중립·코로나 극복·디지털 포용 강조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0일 오전 서울 노원구 한국원자력의학원을 방문해 영상간담회를 통해 신속진단키트, 치료제, 백신과 방역물품을 개발 중인 연구진을 격려하고 의견을 듣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정부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본격화하는 국내 기업을 뒷받침하기 위한 '2050 탄소중립(Net-zero)' 연구·개발을 시행한다.

2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업무보고를 통해 올해 과학기술 혁신과 디지털 뉴딜로 코로나19와 경제 위기를 극복하고 한국 사회·경제의 디지털 전환을 이끌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먼저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핵심 기술 개발에 나선다.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탄소중립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내면서 전 세계 기업 운영에 탄소 저감이 핵심 화두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오는 3월 탄소중립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를 확대함으로써 탄소중립을 위한 중장기 기술로드맵을 제시한다. '2050 탄소중립 기술혁신 10대 프로젝트 추진전략'을 마련해 스마트 그리드, 수소 연료전지, 소형 모듈원자로 등 지속가능한 대체 에너지 기술 관련 투자를 강화한다. 또,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촉진법을 제정해 탄소중립을 위한 기업의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과기정통부는 '회복·포용·도약'이라는 3대 주제로 올해 정책방향을 설정했다. 먼저 신속진단·치료제·백신 등 코로나 극복 3종 세트를 국내 기술로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월에는 타액만 있으면 3분 내에 95%의 정확도로 감염여부를 알 수 있는 '코로나19 반도체 진단키트'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고, 상반기 중 치료제 후보 중 임상 2상이 완료된 종근당(나파모스타트), 대웅제약(카모스타트) 등의 국내 치료제를 의료현장에 적용할 계획이다. 또한 국내 기술로 개발 중인 코로나 백신에 대한 맞춤형 임상 지원을 통해 백신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다.

청년과 여성이 디지털 인재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도 마련한다. 이공계 대학원생에 대한 산재보험 적용을 추진하고, 여성 과학자가 일과 가정을 함께 챙길 수 있게 돕는다. 인공지능 대학원을 10개로 확대하는 등 인공지능·소프트웨어 인재 10만명 확보를 위한 계획도 본격적으로 시행한다. 디지털 뉴딜을 중심으로 한 일자리 창출이라는 목표도 세웠다. 정부는 2025년까지 총 58조2000억원(국비 44조8000억원)을 투자해 90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이어, 5G망을 불편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올해 전국 85개시 주요 행정동과 모든 지하철·철도로 이용지역을 확대한다. 또한 네이버 등 일반(비통신) 기업이 5G로 사물인터넷 기기를 관리할 수 있는 '5G 특화망' 사업도 추진한다.

정부와 법 제도에도 변화가 생긴다. 1월 중 4차 산업혁명위원회를 데이터 컨트롤타워로 개편하고, 비대면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디지털 전환 3법(데이터기본법·디지털집현전법·디지털포용법)'과 '비대면산업법'을 상반기 중에 제정할 계획이다.

한국이 7번째 우주강국으로 거듭날 수 있게 올해 10월 한국형발사체 '누리호'를 쏘아올려 1.5t급 중형위성을 우주로 보낼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고, 달궤도선·차세대중형위성·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KPS) 구축도 함께 추진한다. 국내에서도 민간우주기업이 생겨날 수 있도록 돕는 '민간우주개발촉진법'도 하반기 중에 제정한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코로나 조기 극복, 디지털 대전환 가속화, 과학기술 혁신과 포용사회 실현을 위한 핵심과제를 빠르고 차질 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