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시장의 '경영혁신 촉진'과 '경영 투명성 강화'를 위해 디지털과 비대면 연구를 확대하겠다."
안철경 보험연구원 원장(사진)은 21일 비대면으로 진행된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보험산업의 핵심 도전과제는 효과적인 디지털 전환과 생산적인 협력모델 구축"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안 원장은 보험산업의 올해 핵심 도전과제로 효과적인 디지털 전환과 생산적인 협력모델 구축을 꼽았다. 그는 "코로나19 장기화로 대면채널에 의존하는 보험사의 소비자 접점 유지가 가장 큰 화두"라면서 "데이터와 플랫폼 기반의 디지털 경제가 빠르게 전개되는 환경에서 비용절감 위주 디지털화와 대면채널로는 대응에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보험산업이 디지털 비대면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상품, 채널, 자본 등에서 상당한 구조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보험연구원은 올해 디지털보험사 진입과 활성화 방안, 알고리즘 감독 등 디지털 윤리가이드라인 구축을 추진한다. 이 밖에도 온·오프라인 채널 통합과 온라인 보험서비스 활용방안 등에 대한 연구도 진행한다. 경영 투명성 확보를 위해선 런오프(run-off) 도입, 예금보험제도 개선, K-ICS 로드맵 구체화 등을 다룰 예정이다.
그는 올해 연구방향으로는 '협력적 경쟁'과 '경영혁신'을 제시했다. 그는 "저성장, 비대면 환경에서는 산업 내·외의 기업, 정부 등과의 협력을 통해 시장을 확대한 후 그 시장에서 공정경쟁을 통해 소비자 후생을 높여 생산적인 보험생태계를 조성하는 협력적 경쟁이 필요하다"며 "이를 뒷받침하려면 수익성을 억압하고 있는 사업모형의 재조정과 적절한 위험관리, 경영 투명성 제고, 빅데이터 활용 등 위험선별능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소비자 신뢰 제고와 팬데믹 등 거대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민·관 협력도 강조했다. 그는 "자연재해와 팬데믹에 따른 기업휴지, 사이버위협 등 데이터 한계와 동시다발적인 손실을 초래하는 위험의 인수와 그린뉴딜 등에 대한 장기대체투자 등 사회안전망과 실물경제 기여도를 높일 수 있는 민·관 협력모델을 연구하겠다"며 "소비자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비대면 환경의 소비자 행태와 손해사정제도 개선 및 분쟁조정 개선 등 소비자 이해와 이에 기초한 소비자 보호 연구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그는 "올해 연구가 보험현장과 괴리되지 않도록 CEO Brief 등 보험산업 내 주요 의사결정자와의 피드백 채널을 활성화하고 장 현안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목적으로 운영 중인 센터조직에 ‘ESG연구센터’와 ‘모빌리티보험센터’를 추가해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안철경 보험연구원 원장(사진)은 21일 비대면으로 진행된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보험산업의 핵심 도전과제는 효과적인 디지털 전환과 생산적인 협력모델 구축"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안 원장은 보험산업의 올해 핵심 도전과제로 효과적인 디지털 전환과 생산적인 협력모델 구축을 꼽았다. 그는 "코로나19 장기화로 대면채널에 의존하는 보험사의 소비자 접점 유지가 가장 큰 화두"라면서 "데이터와 플랫폼 기반의 디지털 경제가 빠르게 전개되는 환경에서 비용절감 위주 디지털화와 대면채널로는 대응에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보험산업이 디지털 비대면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상품, 채널, 자본 등에서 상당한 구조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보험연구원은 올해 디지털보험사 진입과 활성화 방안, 알고리즘 감독 등 디지털 윤리가이드라인 구축을 추진한다. 이 밖에도 온·오프라인 채널 통합과 온라인 보험서비스 활용방안 등에 대한 연구도 진행한다. 경영 투명성 확보를 위해선 런오프(run-off) 도입, 예금보험제도 개선, K-ICS 로드맵 구체화 등을 다룰 예정이다.
그는 올해 연구방향으로는 '협력적 경쟁'과 '경영혁신'을 제시했다. 그는 "저성장, 비대면 환경에서는 산업 내·외의 기업, 정부 등과의 협력을 통해 시장을 확대한 후 그 시장에서 공정경쟁을 통해 소비자 후생을 높여 생산적인 보험생태계를 조성하는 협력적 경쟁이 필요하다"며 "이를 뒷받침하려면 수익성을 억압하고 있는 사업모형의 재조정과 적절한 위험관리, 경영 투명성 제고, 빅데이터 활용 등 위험선별능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소비자 신뢰 제고와 팬데믹 등 거대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민·관 협력도 강조했다. 그는 "자연재해와 팬데믹에 따른 기업휴지, 사이버위협 등 데이터 한계와 동시다발적인 손실을 초래하는 위험의 인수와 그린뉴딜 등에 대한 장기대체투자 등 사회안전망과 실물경제 기여도를 높일 수 있는 민·관 협력모델을 연구하겠다"며 "소비자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비대면 환경의 소비자 행태와 손해사정제도 개선 및 분쟁조정 개선 등 소비자 이해와 이에 기초한 소비자 보호 연구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그는 "올해 연구가 보험현장과 괴리되지 않도록 CEO Brief 등 보험산업 내 주요 의사결정자와의 피드백 채널을 활성화하고 장 현안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목적으로 운영 중인 센터조직에 ‘ESG연구센터’와 ‘모빌리티보험센터’를 추가해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