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40대 여성 투자자 수익률 '으뜸'
25일 NH투자증권이 내놓은 분석 결과를 보면 2020년 1~11월 새로 개설된 신규 주식 계좌 약 115만개 가운데 여성 투자자 평균 수익률은 24.2%로 남성의 18.3%를 훌쩍 앞섰다. 특히 30대와 40대 여성의 수익률은 각각 26% 25.7%로 다른 비교군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 여성과 세계적인 투자자 워런 버핏을 합친 '줌마 버핏'이라는 신조어가 나오는 이유다. 여의도 직장인 김모씨(38)는 "남자들의 이성적인 판단보다 여자들의 직관력이 투자에서는 남다른 기지를 발휘하는 것 같다"며 "신혼 초에는 아내가 투자하는 데 반대했다가 여러 번 실패한 이후로 요즘에는 어떤 투자에도 관여하지 않게 됐다"고 말했다.
부동산만 좇던 '강남 줌마 버핏'이 주식시장에서까지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 지난해 9월 본지가 주요 증권사들의 서울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 지점 프라이빗뱅커(PB) 4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는 코로나19 이후 30~60대 여성 고객(신규 계좌)이 늘었다는 응답이 전체의 70%(30명)에 달했다. 당시 이전과 다를 바 없다는 응답은 30%(13명)에 불과했고, 줄었다고 응답한 PB는 1명도 없었다.
◆'10대 주린이' 작년 연간 10배 증가
주식이 주요 재테크 수단으로 자리잡자 자녀에게 계좌를 터주는 '마마·파파 개미(엄마·아빠 주식 투자자)'도 눈에 띄게 늘었다.
국내 주식시장에서 개인 투자자 점유율 1위 증권사인 키움증권을 기준으로 지난해 20대 미만 신규 계좌 수는 11만5571개로 전년(1만1250개)보다 10배 이상 늘었다. 같은 기간 전체 신규 계좌에서 차지하는 미성년자 계좌 비중도 4.9%로, 2.4%에서 2배 넘게 뛰었다.
그동안 국내에서 주식시장은 '투기판'이라는 인식이 강해 아이들에게 주식을 권하는 일이 드물었다. 아이들의 종잣돈을 마련해주는 방식은 은행 예·적금이 흔했다. 그러나 지난해 이후 이런 인식이 크게 변했다. 아이들에게 주식 투자를 적극 권하고, 주식을 통해 조기 경제 교육에 나서는 부모도 많아졌다. 세뱃돈과 용돈을 주식으로 주는 문화도 자리잡고 있다.
송파구에 거주하는 가정주부 신모씨(47)는 "올해 11살 첫째 아이 용돈을 주식 계좌로 넣어주기로 하면서 둘째인 8살 아이 것까지 함께 만들어줬다"며 "선진국에서는 금융 교육을 위해서라도 주식 계좌를 만들어 준다고 하고, 삼성전자 같은 경우는 오랫동안 묵혀도 나쁘지 않을 것 같아 계좌를 만들어 주기로 했다"고 했다.
아이들의 주식 계좌는 증여세 절감 수단으로도 각광을 받고 있다. 만 19세 미만의 미성년 자녀에게 증여하는 경우 10년간 2000만원 한도가 넘어가면 증여세를 물어야 하지만, 증여 받은 현금으로 주식을 매입해 해당 주식의 통상적인 가치상승 증가로 이익이 발생할 경우에는 증여세를 물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현금이 아니라 주식 자체를 직접 증여해도 이 또한 2000만원까지 비과세다. 특히 상장주식 증여액은 증여 시점 전후 각 2개월 종가평균액을 기준으로 산출하기 때문에 최근 4개월간 주가가 하락한 주식을 증여하면 재산가액과 세금이 줄어든다. 더욱이 주식 수익금이나 배당금 등 원금을 제외한 이익은 증여세 부과 대상이 아니라 다른 자산에 비해 절세 폭이 크다는 평가가 많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