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 신혼부부 10명중 9명은 신혼집을 구할 때 매매보다는 전세로, 전세 선호금액은 4억원 미만을 생각한다는 조사가 나왔다.
27일 부동산 플랫폼 다방이 3년 이내 결혼 계획이 있는 예비 신혼부부 2743명을 대상으로 주거 계획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52.9%(1450명)가 신혼주택의 거래 형태로 전세를 선택했다.
지난해 전세대란 여파로 2030 세대의 '패닉바잉(공포 매수)'이 늘었지만, 여전히 예비 신혼부부의 절반 이상은 전세로 집을 거래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전세로 신접살림을 계획하는 이유는 자금 부족이 63.6%(1,130명)로 가장 컸다. 이외에 신혼부부 특별공급 등의 청약 계획은 21.9%(390명)였다. 반면 집값 하락에 대한 기대는 7.5%(134명)에 불과했다.
매매를 원하는 예비 신혼부부들은 34.9%(956명)로 나타났다. 이들이 가장 살고 싶어하는 주택의 유형으로는 아파트가 85.1%(810명)로 가장 많았고, 이외에 ▲빌라 9.6%(91명) ▲오피스텔 2.7%(26명) ▲전원주택 2.2%(21명) 순이었다.
매매할 주택의 지역은 경기·인천 등 수도권이 44.0%(421명)로 가장 많았다. 천정부지로 치솟는 서울 아파트에 대한 부담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이어 ▲서울 22.4%(214명) ▲부산·울산 등 동남권 11.5%(110명) ▲대구·경북 등 대경권 8.3%(79명) ▲대전·세종 등 충청권 7.2%(69명) 순이었다.
매매 주택의 가격으로는 3~5억 원 미만이 41.4%(395명)로 가장 많았고, ▲3억 원 미만 26.3%(251명) ▲5~7억 원 미만 19.4%(185명) ▲7~9억 원 미만 6.6%(63명) ▲9억 원 이상 6.2%(59명)가 뒤를 이었다.
주택 매매 자금 마련 방식으로는 은행 등의 대출이 61.2%(584명)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대출 예상 금액으로는 ▲1~2억 원 미만 41.2%(394명) ▲2~3억 원 미만 24.3%(232명) ▲1억 원 미만 17.1%(163명) ▲3억 원 이상 11.5%(110명) 순이었다.
한편, 예비 신혼부부들의 54.0%(1476명)는 주거 안정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 주택 공급 확대를 꼽았다. 그 다음 ▲다주택자 세금 강화 28.1%(768명) ▲주택 대출 규제 강화 10.9%(299명) ▲기준 금리 인상 3.9%(108명)였다.
이밖에 출퇴근 시간 42.1%(1153명) ▲투룸 이상의 주거 공간 26.7%(732명) ▲교육시설 16.3%(445명) ▲안전시설 7.7%(212명)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