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장선 평택시장(테이블 오른쪽 1번째)이 종합 안전대책 추진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사진=경기 평택시 제공]
‘시민안전 종합대책’은 관련 예산을 지난해보다 122% 증액한 592억원을 확보하고 △ 종합 △ 범죄 △ 교통 △ 생활안전 등 4개 분야 80개 사업을 중점 추진해 각종 ‘안전지수’를 1등급까지 높이겠다는 종합적인 개선방안을 담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시설개선, ’제도·행정‘, ’의식·문화‘ 3개 전략별로 구분하며, 통합관제센터를 통해 CCTV 영상을 경찰・소방・119구조대와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스마트 도시안전망’ 구축으로 효과적인 현장 대응을 강화하고, 방범・주정차예방 CCTV 146개소 증설, IOT 양방향 통신 보안등 100% 보급, 통복동 농협사거리 교통사고 개선사업 등 취약지구에 대한 맞춤형 안전강화로 도시안전 정비 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평택역 주변 정비방안 기본계획’을 수립해 복합문화 광장 조성 및 역세권 주거・업무시설을 거점개발하고, 성매매집결지 상담소와 직업훈련 지원 등 자활 지원 시스템을 운영해 기능 전환을 유도할 방침이다.
아울러 오는 2023년까지 평택북부서 신설 및 남부서 이전, 시-경간 치안협의회 정례화, 시-경-출입국관리 퇴폐 우려업소 합동단속 강화, 스쿨존안전지킴이 및 교통지도 등을 중점 추진하며, 특히 민·관·학·경 협력을 통해 현장 중심의 경찰 인력을 재배치하고, 주민참여형 방범 활동 등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신동의 안전총괄과장은 “안전도시 조성을 위해서는 시설과 제도 개선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아동학대 및 4대폭력 예방교육, 찾아가는 안전교육 확대, 시 주관 교육행사 시 안전교육 의무화, 시민공익신고 활성화 등 안전의식・문화운동에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