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는 VW가 성명을 통해 "SK이노베이션이 생산하는 전기차 배터리를 최소 4년 이상 이용할 수 있게 해달라고 미국 정부에 요청했다"고 전했다. "한국의 두 배터리 공급업체(SK이노베이션과 LG에너지솔루션)의 분쟁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피해를 봤다"는 것이다.
VW은 미국 내 전기차 생산라인 운영이 SK이노베이션의 분쟁 패소 때문에 차질을 빚게 될 것이란 우려가 크다.
앞서 지난 10일 미국무역위원회(ITC)는 두 배터리 업체의 분쟁에서 SK이노베이션의 영업비밀 침해를 인정해 LG에너지솔루션의 손을 들었다. 이에 따라 ITC는 SK이노베이션이 영업비밀을 침해한 것으로 판정된 배터리와 부품의 미국 내 수입을 10년 동안 막고, 이미 수입된 품목에는 10년 동안 미국 내 유통과 판매를 금지한다는 명령을 내렸다.
다만 ITC는 SK이노베이션이 미국 내 VW 전기차 생산라인에 필요한 배터리를 수입하는 것은 2년 동안 허용했다. 또한 SK이노베이션이 자동차 제조업체 포드의 전기차 F-150 프로그램을 위한 미국 내 배터리 생산에 필요한 부품을 수입하는 것도 4년 동안 허용됐다.
VW과 포드 입장에서는 SK가 수입금지를 풀 수 있는 빠른 대책을 내놓지 못하면, SK와 계약을 종료하고 서둘러 새로운 배터리 공급사를 찾으려 할 가능성도 있다.

SK이노베이션이 미국 남동부 조지아주에서 건설 중인 전기차 배터리 공장 착공식 모습. [사진=SK이노베이션 제공]
SK이노베이션이 배터리공장을 짓고 있는 미국 조지아주 주지사는 아예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에게 이번 판정 결과에 대한 거부권 행사를 요청하고 나섰다.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주 주지사는 성명을 통해 "이번 결정 때문에 조지아에서 진행되는 SK이노베이션의 전기차 배터리 공장 건설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며 거부권 행사를 요구했다.
그는 "불행히도 이번 결정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SK가 공급하는 2600개 청정에너지 일자리와 혁신 제조업에 대한 커다란 투자를 위협한다"고 밝혔다.
미국 포드는 SK-LG 양사의 조속한 합의를 촉구했다. 짐 팔리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1일 트위터를 통해 "(전기차 배터리) 공급업체인 두 회사의 합의는 궁극적으로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와 노동자에게 최선의 이익이 된다"며 합의를 요청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