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갤럭시Z폴드2 제품 사진.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 스마트폰이 일본 시장에서 7년 만에 두 자릿수 대 점유율을 회복하며 3위에 올랐다.
14일 일본 시장조사업체 MM종합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점유율 11.1%로 3위를 기록했다. 1위는 46.5%를 기록한 애플, 2위는 12%를 차지한 샤프다. 소니(7.6%)와 후지쯔(7.3%)가 삼성전자에 이어 각각 4위와 5위에 올랐다.
삼성전자가 일본 시장점유율에서 10%를 넘긴 건 2013년 이후 처음이다.
일본 스마트폰 시장은 국내보다 두 배 이상 규모가 크지만 애플 아이폰과 자국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유독 높다. 애플 본고장 미국에서 애플과 어깨를 견주는 삼성전자도 일본 시장에서만큼은 어깨를 펴지 못했다.
MM종합연구소 측은 "삼성 갤럭시A20, A30 등 중저가 모델이 피처폰 이용자가 처음 구매하는 스마트폰으로 인기를 끌었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더해 지난해 삼성전자의 일본 시장 점유율 확대는 5G 단말기 출시 확대 성과도 한 몫했다. 일본 현지 업체들은 5G 도입에 빠르게 대응하지 못한 반면 삼성전자는 플래그십 모델뿐 아니라 중저가 5G 단말기도 출시하며 틈새를 파고든 것이다. 지난해 일본 시장에서 5G 스마트 폰 출하량은 625만3000대로 전체 스마트폰의 20.8%를 차지한다.
아울러 2015년부터 삼성전자는 시장 점유율 회복을 위해 일본에서 판매하는 스마트폰에는 삼성 로고 대신 브랜드명인 갤럭시 로고를 부착했다. 갤럭시S6부터 일본판 제품에는 삼성 로고 대신 갤럭시 로고가 들어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