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교진 세종시교육감 / 아주경제 DB
26일 언론 보도 등 현재까지 알려진 인원은 최 교육감을 포함해 6명으로 알려졌지만, 아주경제 취재결과 8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다른 위치지만 두 명이 더 있었던 것이다.
최 교육감을 비롯해 현재 알려진 일행은 퇴직 예정자 4명과 비서실 직원 1명으로 알려졌지만, 교육정책국장과 교원인사과장도 식사자리에 함께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정부의 이 같은 지침을 알고 있을 공직자들이 방역 수칙을 어겨가면서까지 식사 자리를 강행했고, 그 결과 식당 업주에게까지 피해를 입히는 꼴이 됐다. 행정기관의 오류로 업주는 원치 않는 피해를 입게 된 것이다.
게다가, 정책국장이 25일 해당 식당을 찾아가 사과하고 "앞으로 자주 이용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져 또다른 논란이 예상된다. 시 교육청의 오류로 피해를 입은 식당을 특정했다는데 따른 지적이다.
한편, 세종시교육청 방역수칙 위반이라는 언론보도가 이어지자 홈페이지에 해명자료를 올려 공무의 연장이었다는 점을 강조하다가 중앙사고수습본부에서 공무가 아닌 사적 모임이라는 결론을 내놔 망신을 사는 등 과태료 처분을 받게 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