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국민도 전국 하천 주변의 침수위험 지역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됐다.
환경부는 전국 하천 주변의 침수위험 지역을 지도상에 표시한 홍수위험지도를 오는 5일부터 '홍수위험지도정보시스템'에 공개한다고 4일 밝혔다.
기후 위기로 집중호우가 자주 발생하는 등 홍수 위험성이 날로 커지면서 국민이 홍수위험지역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대피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그간 홍수위험지도는 지자체의 효율적 방재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환경부(홍수통제소)가 작성·배포했으며, 국민들은 해당 지자체에 직접 방문해야 열람할 수 있었다.
이번에 공개되는 홍수위험지도는 전국 국가 하천(2892km)과 한강·낙동강·금강권역의 지방 하천(1만8795km) 구간이다.
홍수위험지도정보시스템에서 하천명을 검색하면 침수위험 범위와 침수 깊이를 찾을 수 있다. 침수 깊이는 ‘0.5m 이하’부터 ‘5m 이상’까지의 5단계로 색상별로 구분해 보여준다.
환경부는 "지도에 표시된 침수위험 범위와 침수 깊이는 해당 홍수 시나리오를 토대로 제방 붕괴와 제방월류의 극한 상황이 발생한다는 가상의 분석 결과"라며 "실제 하천제방의 안정성과는 무관하다"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홍수위험지도를 토대로 올해 태풍·홍수 자연재난 대책 기간 시작일인 5월 15일부터 하천구역의 수위뿐 아니라 하천 주변 지역의 침수위험정보 등 종합적인 홍수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홍수위험지도의 활용성과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지자체·공공기관 등의 관련 업무 종사자 대상 주기적인 교육과 함께 지자체 홍수대처계획 수립 시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아울러 행정구역명 기반 검색, 지도 내려받기 등 사용자 편의 기능을 홍수위험지도정보시스템에 도입하고, 영산·섬진강 지방하천 홍수위험지도도 올해 안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11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풍수해 대응 혁신 종합 대책도 추진한다.
기후 변화로 증가하는 홍수량을 홍수방어시설 설계 등에 반영하도록 법과 설계 기준을 정비해 홍수방어 기준을 강화할 방침이다. 다목적댐 재평가를 통한 홍수조절용량 확대, 댐 하류 주민들의 대비를 위한 댐 수문방류 예고제 도입 등으로 댐 운영체계도 개선한다.
또 오는 2025년까지 하천의 홍수특보지점을 기존 65곳에서 218곳으로 대폭 확대하고, 국지성 돌발 홍수 예측을 위한 소형 강우 레이더의 주요 도심지를 현재 2기에서 9기로 확대 설치한다.
김동진 환경부 수자원정책국장은 "기후 위기 시대 홍수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방재 일선에 있는 지자체는 물론 국민 스스로 어느 곳에 위협요소가 있는지 사전에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홍수위험지도를 통해 홍수 위험 지역을 사전에 파악하고 홍수 대책 수립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환경부는 전국 하천 주변의 침수위험 지역을 지도상에 표시한 홍수위험지도를 오는 5일부터 '홍수위험지도정보시스템'에 공개한다고 4일 밝혔다.
기후 위기로 집중호우가 자주 발생하는 등 홍수 위험성이 날로 커지면서 국민이 홍수위험지역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대피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그간 홍수위험지도는 지자체의 효율적 방재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환경부(홍수통제소)가 작성·배포했으며, 국민들은 해당 지자체에 직접 방문해야 열람할 수 있었다.
홍수위험지도정보시스템에서 하천명을 검색하면 침수위험 범위와 침수 깊이를 찾을 수 있다. 침수 깊이는 ‘0.5m 이하’부터 ‘5m 이상’까지의 5단계로 색상별로 구분해 보여준다.
환경부는 "지도에 표시된 침수위험 범위와 침수 깊이는 해당 홍수 시나리오를 토대로 제방 붕괴와 제방월류의 극한 상황이 발생한다는 가상의 분석 결과"라며 "실제 하천제방의 안정성과는 무관하다"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홍수위험지도를 토대로 올해 태풍·홍수 자연재난 대책 기간 시작일인 5월 15일부터 하천구역의 수위뿐 아니라 하천 주변 지역의 침수위험정보 등 종합적인 홍수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홍수위험지도의 활용성과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지자체·공공기관 등의 관련 업무 종사자 대상 주기적인 교육과 함께 지자체 홍수대처계획 수립 시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아울러 행정구역명 기반 검색, 지도 내려받기 등 사용자 편의 기능을 홍수위험지도정보시스템에 도입하고, 영산·섬진강 지방하천 홍수위험지도도 올해 안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11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풍수해 대응 혁신 종합 대책도 추진한다.
기후 변화로 증가하는 홍수량을 홍수방어시설 설계 등에 반영하도록 법과 설계 기준을 정비해 홍수방어 기준을 강화할 방침이다. 다목적댐 재평가를 통한 홍수조절용량 확대, 댐 하류 주민들의 대비를 위한 댐 수문방류 예고제 도입 등으로 댐 운영체계도 개선한다.
또 오는 2025년까지 하천의 홍수특보지점을 기존 65곳에서 218곳으로 대폭 확대하고, 국지성 돌발 홍수 예측을 위한 소형 강우 레이더의 주요 도심지를 현재 2기에서 9기로 확대 설치한다.
김동진 환경부 수자원정책국장은 "기후 위기 시대 홍수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방재 일선에 있는 지자체는 물론 국민 스스로 어느 곳에 위협요소가 있는지 사전에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홍수위험지도를 통해 홍수 위험 지역을 사전에 파악하고 홍수 대책 수립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