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H 직원 토지 투기 의혹 [연합뉴스 그래픽]
광명시흥·인천계양·고양창릉·부천대장·남양주왕숙·하남교산 등 3기 신도시 지역 토지 거래량이 신도시 발표 직전 큰 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개발 정보가 사전에 유출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10일 한국부동산원 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18년 11월 인천 계양구의 순수토지(건축물 제외) 거래량(매매·증여·교환·판결 포함)은 336건(필지)으로, 당시 기준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이는 이전 월간 평균 거래량(약 78건)보다 4배 넘게 증가한 수치다.
국토교통부는 그로부터 한 달 뒤인 2018년 12월 인천 계양구 동양동·박촌동·귤현동·상야동 333만㎡ 터에 1만7000가구, 3만9000명을 수용하는 신도시(계양테크노밸리)를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신도시 발표 한 달 전에 거래량이 급격히 뛴 셈이다.
같은 시기 신도시로 지정된 하남교산과 남양주왕숙의 토지 거래량도 발표를 앞두고 급증했다. 하남시의 순수토지 거래량은 하남교산 3기 신도시 발표가 있던 2018년 12월 472건을 기록했다. 전달(228건) 대비 확연한 증가세를 나타냈다.
남양주 역시 신도시 발표가 있기 1년 전인 2017년 12월 1321건으로 당시 월간 역대 최다 거래량을 기록했고, 발표가 있던 이듬해 12월 직전까지 네 차례 월간 거래량이 1000건을 넘겼다.
이런 현상은 정부가 2019년 5월 2차로 발표한 고양창릉·부천대장 3기 신도시 지구에서도 반복됐다.
고양창릉이 있는 고양시 덕양구는 2019년 1∼4월 100∼200건의 거래량을 보이다가 신도시 발표가 있던 같은 해 5월 300건대로 뛰었다. 대장 신도시가 발표된 부천은 2018년에 월간 평균 108건의 토지 거래량을 보였고, 이듬해에도 100건 안팎의 거래량을 이어가다가 신도시 발표 2개월 전인 3월에 223건을 기록했다.
지난달 24일 여섯 번째 3기 신도시로 지정된 광명시흥지구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이 땅을 매입하기 시작한 2017년부터 이 일대 토지 거래 시장이 들썩이기 시작했다.
광명시 순수토지 거래량은 2016년 893건으로 1000건을 밑돌았다가 2017년 1036건, 2018년 1665건, 2019년 1715건, 2020년 2520건으로 급증세를 보였다.
시흥시 순수토지 거래량은 2017년 9243건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또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실에 따르면 LH 직원의 투기 의혹이 제기된 시흥시 과림동의 토지거래는 작년 8월 이후 거의 이뤄지지 않는 소강상태를 보이다가 지난달 2·4 대책이 나오기 직전 3개월(작년 11월∼올해 1월)간 30건(약 129억원)으로 급증했다.
LH 직원들의 3기 신도시 투기 의혹이 일파만파로 확산하면서 정부는 2013년 12월 이후의 토지 거래를 조사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