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시장 대해부] ③ 테슬라가 알뜰폰 사업을?...커지는 MVNO 시장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차현아·신승훈 기자
입력 2021-03-11 00:0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김영식 의원, 5년간 사업자별 알뜰폰 가입자수 통계 공개

  • MVNO 기반 M2M 사업자 5개에서 지난해 18개로 급증

  • M2M 시장도 성장세...커넥티드카·영상관제 등에 서비스

  • 사업자도 각양각색..."알뜰폰 지원 핀셋정책 위해 정리필요"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MVNO(가상 이동통신 사업자) 시장에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통신을 본업으로 하는 사업자부터 완성차 업계까지 지난해를 기점으로 MVNO 사업자가 다양해지고 있다. 일각에선 MVNO 사업자 구성이 다양해지는 만큼 사업자 분류 체계를 세밀하게 정리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본지는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소속 김영식 국민의힘 의원으로부터 입수한 지난 5년 간 전체 알뜰폰 사업자의 가입자수 자료를 분석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현재 기준 M2M(사물지능통신, MVNO망을 사물 간 통신에 활용하는 서비스) 전용 사업자의 가입회선 수는 총 195만442개로 집계됐다. 전년(7만7881개) 대비 무려 187만2561개(약 25배) 늘어난 수치다.

이는 △2016년 7만7155개 △2017년 7만4088개 △2018년 7만443개 △2019년 7만7881개로 매해 약 7만개에 머물다가 지난해 비약적으로 상승한 셈이다. 2019년 전체 MVNO 가입회선(774만9516개) 대비 M2M가 차지하는 비중은 1%에 불과했으나, 지난해에는 21.4%까지 급증했다.

전체 MVNO 사업자 중 M2M 전용 사업자도 △2017년 5개 △2018년 6개 △2019년 8개 등에서 지난해 18개로 급증했다. 지난해 완성차 업체가 MVNO 사업자로 등록하고 M2M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면서다. M2M 전용 사업자별 가입 회선수는 △현대자동차(141만4663개) △벤츠코리아(23만5060명) △기아자동차(17만6755명) △르노삼성(2만8282명) △테슬라(1만5626명) 등의 순이다.
 

[그래픽=임이슬 기자]


지난해 현대·기아차는 MVNO 망을 이용해 원격제어, 안전보안, 인포테인먼트(정보+엔터테인먼트) 등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운영하겠다는 구상을 밝히기도 했다. 이를 통해 자동차를 '달리는 스마트폰'으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커넥티드카 이외에도 M2M은 다양한 서비스에 활용되고 있다. 롯데정보통신의 경우 △태블릿 키오스크 △영업·법인용 스마트단말기 △호텔 객실 관리용 단말기 등 B2B 기반 서비스에 MVNO망을 활용하고 있다.

일본 이통사 KDDI의 한국 자회사인 KDDI코리아도 LG유플러스의 LTE 통신망을 임대해, 무인택배함과 주차장, 건설현장 등의 모니터링과 원격관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한국정보통신과 오케이포스는 신용카드 단말기에, KT텔레캅은 지능형 영상관제 등 보안 서비스에 MVNO망을 도입했다.

최근 M2M을 포함한 전체 MVNO 가입회선과 사업자 등이 성장함에 따라 시장 현황을 정확히 살필 수 있는 통계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힘을 얻는다.

과기정통부는 내부적으로 전체 MVNO 사업자를 음성전화(휴대폰+M2M) 사업자(46개)와 M2M 전용 사업자(18개)로 분류하고 있다. 일례로 음성전화 사업자로 분류된 보안업체 에스원은 알뜰폰 서비스와 MVNO망 기반 보안 서비스(M2M)를 모두 운영하고 있다. 만약 이 분류에 근거해 정부가 알뜰폰 지원 정책을 펴게 된다면 정책 대상에 본업이 알뜰폰인 사업자들과 그렇지 않은 사업자들이 섞이게 된다.

MVNO라는 통계 안에 알뜰폰과 M2M이 함께 포함되다보니, 알뜰폰 가입자가 현재 1000만명에 육박한다는 오해도 발생한다. 과기정통부의 올해 1월 기준 무선 통신서비스 통계현황에 따르면 전체 MVNO 가입회선 수는 총 921만5943개로 1000만개에 가까워진 것은 맞다. 다만 이 중 M2M을 포함한 사물지능통신 회선을 제외하면 휴대전화 기반 순수 알뜰폰 회선수는 608만6434개다.

현재 가계통신비 인하를 목표로 추진 중인 정부의 알뜰폰 지원 정책이 더욱 세밀해지려면 본업이 알뜰폰인 사업자를 별도 분류하는 등 정책 대상을 세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영식 국민의힘 의원은 "통신이용환경 다변화로 이동통신 도매시장의 변화가 활발한 만큼, 맞춤형 통신정책을 위한 알뜰폰 정책의 재설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