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제공]
이동통신 3사가 휴대폰 단말기 할부수수료 담합 의혹으로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를 받고 있다. 최근 10년간 시중금리는 꾸준히 낮아졌는데 단말기 할부수수료는 연 5.9%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통사들은 은행 금리와 단순 비교가 어렵다고 항변했다.
11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이번 주부터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본사를 찾아 현장 조사를 벌이고 있다. 이통3사의 단말기 할부금리가 연 5.9%로 유지되는 상황에서 담합 의혹이 국회에서 제기됐기 때문이다. 지난달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10년 전 단말기 할부금리 도입 당시 금리가 5.9%였는데 지금도 5.9%다. 같은 기간 한국은행 기준 금리가 3.25%에서 0.5%로 떨어졌고, 시중 대출 금리도 크게 낮아졌는데 단말기 할부금리만 그대로"라며 "3사 모두 영업 상황이 다를 텐데 금리는 다 같은 수준이다. 담합 아니냐"고 지적했다.
휴대전화를 개통한 고객은 이통사에 약정 가입 시 단말기값을 매달 할부로 내는 대신 이자를 얹어 단말기 할부수수료를 지불한다. SK텔레콤은 2009년 연 5.9% 이자율로 할부수수료를 도입했다. 이어 KT와 LG유플러스가 2012년부터 같은 이자를 적용했다. KT가 2015년 연 6.1%로 올렸다가 2017년 다시 연 5.9%로 내린 뒤 3사가 할부 수수료를 동일하게 유지하고 있다.
이통3사가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년간 단말기 할부수수료율을 5.9%로 유지하면서 소비자에 전가한 비용이 최대 5조2000억원에 달한다는 주장도 있다.
국회 과방위 소속 양정숙 의원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단말기 할부수수료를 통해 소비자가 납부한 보증보험료는 약 2조6000억원에 달한다. 이통사의 필요에 따라 보증보험에 가입하는 만큼 보험료 전액을 소비자가 부담할 근거가 없다는 설명이다. 또 단말 할부 관리비용은 사업자가 제공하는 일반적인 고객서비스인데 할부수수료를 통해 고객에게 전가했으며, 그 규모는 10년간 2조6000억원으로 예상한다고 주장했다.
이통3사는 이러한 논란이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담보를 확보하고 신용등급으로 산정하는 1금융권 금리와는 비교가 어렵고, 신용카드 할부수수료보다 저렴하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3사 간 할부 금리가 너무 차이 나면 특정사만 요율이 높아 보인다는 지적이 나올 수 있어서 자연스레 비슷한 수준으로 맞춰진 것이지 담합이라고 보긴 어렵다"고 밝혔다.
다른 관계자는 "보증보험이 3%이고, 할부채권 자금 조달을 위한 금융 이자가 3% 이상이어서 이를 합치면 6%가 넘는다. 수익은커녕 이통사도 고객을 위해 약간의 비용을 감수하며 제공하고 있다"며 "(은행처럼) 고객 신용등급에 따라 차별적으로 수수료율을 적용할 수는 없는 노릇"이라고 말했다.
11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이번 주부터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본사를 찾아 현장 조사를 벌이고 있다. 이통3사의 단말기 할부금리가 연 5.9%로 유지되는 상황에서 담합 의혹이 국회에서 제기됐기 때문이다. 지난달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10년 전 단말기 할부금리 도입 당시 금리가 5.9%였는데 지금도 5.9%다. 같은 기간 한국은행 기준 금리가 3.25%에서 0.5%로 떨어졌고, 시중 대출 금리도 크게 낮아졌는데 단말기 할부금리만 그대로"라며 "3사 모두 영업 상황이 다를 텐데 금리는 다 같은 수준이다. 담합 아니냐"고 지적했다.
휴대전화를 개통한 고객은 이통사에 약정 가입 시 단말기값을 매달 할부로 내는 대신 이자를 얹어 단말기 할부수수료를 지불한다. SK텔레콤은 2009년 연 5.9% 이자율로 할부수수료를 도입했다. 이어 KT와 LG유플러스가 2012년부터 같은 이자를 적용했다. KT가 2015년 연 6.1%로 올렸다가 2017년 다시 연 5.9%로 내린 뒤 3사가 할부 수수료를 동일하게 유지하고 있다.
이통3사가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년간 단말기 할부수수료율을 5.9%로 유지하면서 소비자에 전가한 비용이 최대 5조2000억원에 달한다는 주장도 있다.
국회 과방위 소속 양정숙 의원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단말기 할부수수료를 통해 소비자가 납부한 보증보험료는 약 2조6000억원에 달한다. 이통사의 필요에 따라 보증보험에 가입하는 만큼 보험료 전액을 소비자가 부담할 근거가 없다는 설명이다. 또 단말 할부 관리비용은 사업자가 제공하는 일반적인 고객서비스인데 할부수수료를 통해 고객에게 전가했으며, 그 규모는 10년간 2조6000억원으로 예상한다고 주장했다.
이통3사는 이러한 논란이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담보를 확보하고 신용등급으로 산정하는 1금융권 금리와는 비교가 어렵고, 신용카드 할부수수료보다 저렴하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3사 간 할부 금리가 너무 차이 나면 특정사만 요율이 높아 보인다는 지적이 나올 수 있어서 자연스레 비슷한 수준으로 맞춰진 것이지 담합이라고 보긴 어렵다"고 밝혔다.
다른 관계자는 "보증보험이 3%이고, 할부채권 자금 조달을 위한 금융 이자가 3% 이상이어서 이를 합치면 6%가 넘는다. 수익은커녕 이통사도 고객을 위해 약간의 비용을 감수하며 제공하고 있다"며 "(은행처럼) 고객 신용등급에 따라 차별적으로 수수료율을 적용할 수는 없는 노릇"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