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올해 하반기부터 대·중·소 기업 규모에 관계 없이 모든 앱·콘텐츠 개발사에게 '반값 수수료'를 적용한다.
15일 구글은 오는 7월 1일부터 구글플레이에서 유료 콘텐츠를 판매하는 모든 개발사(게임·디지털콘텐츠 앱 등을 모두 포함)를 대상으로 연간 100만 달러(약 11억원) 매출에 대해 15% 수수료를 적용하고, 초과 매출에 대해서 30% 수수료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구글코리아 측은 "예를 들어 개발사의 연매출이 20억원이면 11억원의 매출에 대한 수수료는 15%, 나머지 9억원에 대한 수수료는 30%가 적용된다"며 "이 정책은 구글플레이에서 유료콘텐츠를 판매하는 거의 대부분의 국내 개발사에 수수료 인하 혜택을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글은 국내 개발사의 해외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 9월 발표한 '크리에이트(K-reate)' 프로그램을 올해부터 본격 운영하는 등 국내 중소개발사 지원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구글코리아가 지난해 11월 출범시킨 앱생태계상생포럼의 장대익 의장은 "한국에서 촉발된 수수료 논의가 전세계 개발자 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에 대해 기쁘게 생각한다"며 "구글의 수수료 인하 결정은 앱 생태계 상생의 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동현 슈퍼어썸 대표는 구글의 결정을 환영하며 "이번 결정으로 수수료에 대한 부담이 경감된 만큼 보다 재미있는 게임으로 이용자를 만나기 위해 혁신 역량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배성주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기술경영전공 교수는 "한국 개발사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이를 반영한 구글의 노력을 높이 평가한다"며 "구글의 이번 발표가 한국 앱 생태계를 더욱 풍성하게 만드는 데 일조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15일 구글은 오는 7월 1일부터 구글플레이에서 유료 콘텐츠를 판매하는 모든 개발사(게임·디지털콘텐츠 앱 등을 모두 포함)를 대상으로 연간 100만 달러(약 11억원) 매출에 대해 15% 수수료를 적용하고, 초과 매출에 대해서 30% 수수료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구글코리아 측은 "예를 들어 개발사의 연매출이 20억원이면 11억원의 매출에 대한 수수료는 15%, 나머지 9억원에 대한 수수료는 30%가 적용된다"며 "이 정책은 구글플레이에서 유료콘텐츠를 판매하는 거의 대부분의 국내 개발사에 수수료 인하 혜택을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글은 국내 개발사의 해외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 9월 발표한 '크리에이트(K-reate)' 프로그램을 올해부터 본격 운영하는 등 국내 중소개발사 지원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조동현 슈퍼어썸 대표는 구글의 결정을 환영하며 "이번 결정으로 수수료에 대한 부담이 경감된 만큼 보다 재미있는 게임으로 이용자를 만나기 위해 혁신 역량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배성주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기술경영전공 교수는 "한국 개발사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이를 반영한 구글의 노력을 높이 평가한다"며 "구글의 이번 발표가 한국 앱 생태계를 더욱 풍성하게 만드는 데 일조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