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해 국내 수출기업들이 운임비 인상, 컨테이너 부족 등 애로사항을 겪는 가운데 국내 항공수출 비중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해상운송을 이용한 수출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16일 발표한 ‘2020년 항공 및 해상수출 물류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항공운송 수출 비중은 35.7%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항공운송을 통한 수출액은 1830억달러(약 207조원)에 달한다.
해상운송은 63.5%를 차지했으면 수출액은 3258억달러(약 368조원)이다. 2019년과 비교해 항공운송 비중은 5.4%p 증가한 반면 해상운송 비중은 5.6%포인트(p) 감소했다.
항공화물 수출 증가의 원인은 반도체, SS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 IT 제품이나 의약품과 같은 고부가가치 수출이 증가한 것이다.
실제 지난해 의약품과 컴퓨터의 항공수출은 각각 전년 대비 79.7%, 77.3% 증가했고 평판디스플레이(21.6%), 반도체(15.8%) 등도 크게 늘었다.
특히 지난해 반도체 품목의 항공 수출액은 977억달러로 항공화물 중 1위를 차지했다. 수출액 2위인 컴퓨터(119억달러)와 비교해 8.21배나 높은 액수다.
반면 해상운송은 운임 급등, 항만 적체, 공(空) 컨테이너 부족 등의 애로를 겪으며 수출이 감소했다. 해상운송 비중이 98%가 넘는 석유제품, 철강, 자동차 등의 해상운송 수출이 각각 40.6%, 14.7%, 13.3%씩 감소하며 부진했다.
특히 급등한 운임비를 주요 애로사항을 꼽는 수출기업이 많았다. 무역협회가 지난해 11월 967개 수출기업들을 상대로 ‘수출 애로요인’을 묻는 설문을 진행한 결과 전체의 16.8%가 꼽은 ‘환율변동성 확대’가 1위를 기록했으며, 그 뒤를 ‘수출국 경기부진’(15.8%)가 이었다.
‘물류비용 상승’은 14.5%로 3위를 기록했다. 이는 같은 해 6월 9.3%의 응답률을 기록한 것과 비교해 크게 상승한 것이다. 국내 해운사들의 운임비 책정 기준이 되는 SCFI(상하이 컨테이너화물 지수)는 지난해 3월 5일 기준 871.16에서 지난 5일 2721.94로 3배 이상 뛴 상태다.
여기에 더해 올해 초부터 물동량이 증가해 해상운송을 위한 컨테이너 확보도 어려운 상황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물건을 만드는 것보다 선박 확보가 더 힘든 상황”이라며 “비싼 운임이라도 일단 보내야 하는데 빈컨테이너가 없어 애를 먹고 있다”고 말했다.
주요국 경기 회복에 힘입어 국제 교역량과 우리 수출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물동량 증가·백신 운송수요 증가·유가 상승 등으로 인한 운임 강세와 항만 물류 적체해소 지연 등 물류 애로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강성은 무역협회 연구원은 “수출기업들의 물류 애로 해소를 위해서는 과도한 운임인상을 억제하고 공(空)컨테이너 공급을 확대해 적기 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16일 발표한 ‘2020년 항공 및 해상수출 물류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항공운송 수출 비중은 35.7%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항공운송을 통한 수출액은 1830억달러(약 207조원)에 달한다.
해상운송은 63.5%를 차지했으면 수출액은 3258억달러(약 368조원)이다. 2019년과 비교해 항공운송 비중은 5.4%p 증가한 반면 해상운송 비중은 5.6%포인트(p) 감소했다.
항공화물 수출 증가의 원인은 반도체, SS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 IT 제품이나 의약품과 같은 고부가가치 수출이 증가한 것이다.
특히 지난해 반도체 품목의 항공 수출액은 977억달러로 항공화물 중 1위를 차지했다. 수출액 2위인 컴퓨터(119억달러)와 비교해 8.21배나 높은 액수다.
반면 해상운송은 운임 급등, 항만 적체, 공(空) 컨테이너 부족 등의 애로를 겪으며 수출이 감소했다. 해상운송 비중이 98%가 넘는 석유제품, 철강, 자동차 등의 해상운송 수출이 각각 40.6%, 14.7%, 13.3%씩 감소하며 부진했다.
특히 급등한 운임비를 주요 애로사항을 꼽는 수출기업이 많았다. 무역협회가 지난해 11월 967개 수출기업들을 상대로 ‘수출 애로요인’을 묻는 설문을 진행한 결과 전체의 16.8%가 꼽은 ‘환율변동성 확대’가 1위를 기록했으며, 그 뒤를 ‘수출국 경기부진’(15.8%)가 이었다.
‘물류비용 상승’은 14.5%로 3위를 기록했다. 이는 같은 해 6월 9.3%의 응답률을 기록한 것과 비교해 크게 상승한 것이다. 국내 해운사들의 운임비 책정 기준이 되는 SCFI(상하이 컨테이너화물 지수)는 지난해 3월 5일 기준 871.16에서 지난 5일 2721.94로 3배 이상 뛴 상태다.
여기에 더해 올해 초부터 물동량이 증가해 해상운송을 위한 컨테이너 확보도 어려운 상황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물건을 만드는 것보다 선박 확보가 더 힘든 상황”이라며 “비싼 운임이라도 일단 보내야 하는데 빈컨테이너가 없어 애를 먹고 있다”고 말했다.
주요국 경기 회복에 힘입어 국제 교역량과 우리 수출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물동량 증가·백신 운송수요 증가·유가 상승 등으로 인한 운임 강세와 항만 물류 적체해소 지연 등 물류 애로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강성은 무역협회 연구원은 “수출기업들의 물류 애로 해소를 위해서는 과도한 운임인상을 억제하고 공(空)컨테이너 공급을 확대해 적기 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