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A "국가도메인 데이터 지난해 폭증…일평균 25억건"

지난해 비대면 활동이 폭증하면서 '.kr'로 끝나는 국가 도메인이 수집한 데이터가 대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17일 국가도메인 질의 데이터 정보를 수집·분석한 '국가도메인 질의 데이터 동향 및 전망' 보고서를 발간했다.

'도메인 질의 데이터'는 특정 도메인(웹사이트 주소)에 접속하기 위해 DNS에 IP 주소를 물어보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빅데이터를 가리킨다. DNS는 도메인을 실제 서버나 네트워크 장비가 인식할 수 있는 IP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이다.

KISA가 지난해 국가DNS에서 처리한 국가도메인 질의데이터 약 9237억건을 분석해보니, 일평균 질의량이 약 25억2000만건이었다. 지난해 일평균 21억6000만건에서 약 16.7% 증가한 수치다.

특히 학교가 온라인 개학한 지난해 4월부터 질의량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0월에는 질의량이 하루에 32억5000만건에 달했다.

구글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 발생시키는 질의가 전체 해외발 질의의 약 4분의 1에 달했다. 애플의 최신 OS 배포 이후 질의량이 급증하기도 하는 등 일부 기업이 도메인 질의량에 큰 영향을 미쳤다.

KISA는 국가도메인 질의량은 꾸준히 증가할 거라면서 2024년에는 일평균 30억건, 연간 1조1000억건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원태 KISA 원장은 "국가도메인 질의 데이터는 인터넷 사용 변화를 빠르게 예측할 수 있는 핵심 데이터 세트"라며 "정확하고 신속한 분석으로 민관이 함께 환경 변화에 대응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원태 KISA 원장[사진=KISA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