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양시청.[사진=고양시 제공]
고양시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시 공직자와 산하 고양도시관리공사 직원 등 등 4050명을 전수조사한 결과 창릉 신도시 지구 내 토지매입자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고양시, 창릉신도시 내 토지매입 공무원 0명
시는 지난 10일부터 공직자 재산등록, 2014년 5월 1일~2021년 2월 28일 토지거래 현황자료 확인 등 자체적으로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 3차례에 걸쳐 조사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조사과정에서 공직자와 일부 가족 등 5명이 3기 신도시 지정지역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인근 지역에 주택 건축, 영농, 상속 관련 등을 목적으로 토지를 매수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5명에 대해 개별공시지가 변동내역 등을 추가적으로 조사한 결과 2명은 상속지분 매입과 임용 전 가족 매입으로, 부동산 투기 개연성이 없고, 3명은 개연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시는 일체의 의혹을 남기지 않기 위해 투기 개연성이 매우 낮은 3명에 대해서는 추후 경찰에 수사의뢰할 방침이다.
또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공직자 관련 신도시 투기의혹이 인지되면 한 점 의혹이 없도록 철저히 조사한다는 계획이다.
이재준 시장은 "도시개발 정보를 이용한 공직자들의 투기행위는 국가와 국민을 배신하는 중대한 범죄"라며 "앞으로 있을 정부차원의 추가조사 등에 적극 협조해 만약 투기가 확인되면 무관용 엄중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더불어 경기 고양시는 올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공공일자리 4만3375개를 만든다고 17일 밝혔다.
◆ 고양시, 올해 공공일자리 4만3375개 만든다
고양시는 전날 이재준 시장 주재로 제1차 일자리 추진전략 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고양시는 올해 고용률 64.5%를 목표로 정하고, 공공일자리 4만3천375개를 창출한다는 계획과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밝혔다.
이를 위해 시는 지난해보다 약 6.2% 증가한 4390억원을 일자리 예산으로 확보했다.
시는 올해 일자리 정책에 대해 △희망알바 등 공공일자리 확대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은 소상공인 등 노동 취약계층 지원 △자족단지의 기업 유치를 통한 민간일자리 확대 등 3가지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올해 일자리 기금 100억원을 전액 투입해 단기 희망알바, 경력형 일자리 사업, 맞춤형 일자리학교 등 총 2100여개의 일자리를 마련할 예정이다. 또 코로나19 상황에 맞게 학교 방역·공공청사 방역 분야에 1천여개의 일자리를 만들어 일자리 창출과 함께 지역사회 방역도 탄탄히 할 계획이다.
청년 일자리 확대를 위해 지역 내 기업에 정규직 인건비를 지원해 청년 고용을 높이는 '고양 청년 뉴딜 지원 사업', 청년에게 창업공간을 제공해 일자리를 창출하는 '28청춘창업소 운영', 방학 기간을 활용해 공공기관에서 직장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는 '대학생 직장체험 연수' 등이 추진된다.
특히 노인 인구 증가 추세에 맞춰 노인 일자리를 적극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식품 안전 도우미, 스쿨존 교통봉사 등 신규 일자리를 발굴, 지난해보다 9.2% 증가한 6천여 개의 노인 일자리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밖에 시는 장기적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 총 14만여명의 고용 창출 효과가 있는 일산 테크노밸리, CJ 라이브시티, 성사 혁신지구, 고양방송영상밸리, 창릉신도시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이재준 시장은 "올해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계속된 경기침체에서 공공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며 "단기적으로 공공일자리 창출로 시민의 삶을 보호하고, 중장기적으로 질 높은 일자리를 발굴하고, 자족 기반 마련을 위해 미래 산업에 지속 투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