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18일 한·미 외교·국방장관(2+2) 회의에서 미국 주도의 반중(反中) 포위망으로 알려진 '쿼드(QUAD·비공식 안보회의체)'에 대해 직접적인 논의를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정의용 장관은 이날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한·미 2+2 회의를 개최한 뒤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관련 질문에 "이번 미국 국무·국방장관 방한 시 쿼드에 대한 직적접인 논의는 없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도 정 장관은 "다만 우리 정부의 신남방 전략과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이 어떻게 공동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 여러 방안을 논의했다"고 덧붙였다.
이어 "우리 정부는 포용성·개방성·투명성과 행정 원칙에 부합하고 국익에 맞는다면, 또 지역 글로벌 평화 번영에 기여한다면 어떤 협의체에서도 협력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라며 기존 정부 입장을 되풀이했다.
정 장관은 또 '대북정책과 관련해 싱가포르 합의를 계승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해선 "싱가포르 합의는 우리 정부 입장에서는 앞으로 북·미 관계 개선, 한반도의 평화 정착, 비핵화 해결 등 기본적 원칙을 확인한 것"이라며 "현 단계에서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최선희 (북한) 외무성 제1부장이 김여정 부부장에 이어 오늘 아침에 연이어 담화를 발표했다"면서 "미국의 대북정책 검토 과정에서 한·미 간 고위급 협의가 진행되는 것을 북한이 긴밀히 주시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 장관은 "한·미 외교국방 장관 회의에 북한이 나름의 방식으로 우리와 미국에 메시지를 보낸 것 아닌가 평가한다"면서 "이런 의도에 대해서도 얘기했지만, 한·미 양국은 이 분야에 있어서 공조를 해나가기로 했다. 우리 정부는 바이든 신 행정부가 계속해 대북 접촉 노력을 하고 북·미 간 비핵화 위한 협상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그는 관련 질문에 "우리가 한반도 비핵화라고 표기하는 것은 우리는 이미 완전히 비핵화를 했기 때문에 북한도 우리와 같이 1991년도 합의에 따라 비핵화를 같이 하자는 의도"라며 "북한도 우리의 의도를 충분히 알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 정부로서는 매우 당당하게 북한에 (비핵화를) 요구할 수 있기 때문에 국제사회에서 북한 비핵화라고 하는 것보다 한반도 비핵화라고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 장관은 '이전 행정부에 비해 북한이 더 위험해졌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2018년 이후 한반도 평화 정책과 긴장 완화를 위한 노력은 많은 성과를 이뤘다고 평가한다"며 "특히 2018년 9월 남북 간 포괄적 군사합의를 이룬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고 남북이 아직도 그 합의를 기본적으로 지키고 있다는 것은 우리가 주목해야 한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 3년 동안 한·미 양국은 긴밀한 공조를 바탕으로 북한에 계속 관여하면 비핵화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는 점을 입증했다고 본다"며 "이번 외교·국방장관 회담을 통해서도 한·미 양국은 대북 전략과 관련해 완전히 조율된 전략을 수립·이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그런 기초 위에 우리가 북한에 효과적으로 관여하면 한반도에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는 달성이 가능하다고 확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정 장관은 이날 회견의 모두발언을 통해서는 전날 미국 애틀란타에서 발생한 총격 사건으로 한국계 여성 4명이 숨진 데 대해 "깊은 위로와 애도를 전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미 국무·국방 장관이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출범 이후 첫 해외순방지로 한·일을 찾은 것과 관련해선 "취임 초기에 한국을 찾아준 두 장관에게 다시 한 번 환영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미 국무·국방 장관이 함께 방문한 것은 지난 2010년 이후 11년 만"이라면서 "70년 역사를 지닌 한·미 동맹이 동북아 평화와 번영의 핵심축인 점을 다시 확인했고,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런 협력의 모멘텀이 가까운 시일 내 한·미 정상회담으로 이어질 것을 기대한다"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