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청.[사진=경기도 북부청 제공]
항체 형성율을 높여 농장으로 유입될 수 있는 구제역 바이러스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서라고 경기도는 설명했다.
접종 대상은 경기지역 사육농가 9100호에서 키우는 소·염소 50만 마리다. 돼지는 기존 백신 접종 일정에 맞춰 농장에서 자체적으로 접종이 이뤄진다.
백신은 영국, 러시아, 아르헨티나에서 수입된 ‘2가(O+A형) 상시백신’으로, 국내 발생 유형인 A형과 O형 방어가 모두 가능한 장점이 있다.
소규모 소 사육농가, 염소 사육농가, 전업규모 이상 농가 중에서도 백신 접종이 어려운 경우 공수의사를 통해 접종을 지원한다. 이들 농가는 관할 읍·면·동사무소에 접종 신청을 해야 한다.
경기도는 일제 예방접종 실시한 뒤 도축장으로 출하하는 소와 돼지에 대해 항체형성율 검사를 실시할 방침이다.
특히 항체양성율이 저조한 것으로 확인된 사육농가, 도축장에 대해서는 최소 500만원에서 최고 10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또 예방약품 지원 등 정부 지원사업 우선 선정에서 제외되는 불이익을 준다.
경기지역 항체 양성율은 소 98.7%, 돼지 89.0%로 전국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김종훈 동물방역위생과장은 "2010~2019년 매년 구제역이 발생했고, 특히 봄철에 발생이 많았던 만큼 철저한 예방접종만이 구제역을 예방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라며 "구제역 발생 예방을 위해 도내 우제류 농가의 철저한 예방접종을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경기지역에서는 2000년 구제역 첫 발생 후 모두 9차례가 발생, 190만 마리가 살처분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