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들이 몰린다] ②싱가포르, 中-홍콩 갈등에 함박웃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정혜인 기자
입력 2021-03-25 06: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홍콩 보안법 제정' 여파 팬데믹에도 외국인 투자 가속

  • 1월 싱가포르 외국인 예금 사상 최고치…1년새 20%↑

싱가포르가 중국과 홍콩의 정치적 갈등에 반사이익을 얻고 있다는 분석이 나와 주목을 받는다. 지난해 5월 중국의 홍콩 국가안보법 제정으로 홍콩 내 정치적 불안이 커지면서 글로벌 자산가들의 탈출이 이어졌고, 싱가포르가 수혜국으로 떠올랐단 얘기다. 

닛케이아시안리뷰(이하 닛케이)는 싱가포르가 ‘아시아의 금융허브’로 불리던 홍콩의 정치적 불안에 차기 투자처를 찾고 있던 부자들의 입맛에 맞는 세금정책 등을 적극적으로 펼치며 해외자금을 끌어들이는 데 성공했다고 지난 14일(현지시간) 전했다. 이로 인해 싱가포르의 외화 유입 속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오히려 가속했다.
 

[사진=싱가포르관광청 홈페이지] 

◆‘홍콩 국가보안법’, 촉매제로···외국인 예금액, 1년 새 20%↑
싱가포르는 미국, 유럽과 달리 소득에 대한 과세 적용이 없다. 또 외국인 소득세율이 22%로 낮은 수준이다.

싱가포르 법률회사 덴턴 로디크(Dentons Rodyk)의 에드먼드 레오 선임 파트너레오 선임매니저는 글로벌 법률금융전문지인 유로머니(Euromoney)와의 인터뷰에서 “싱가포르는 외국인 소득에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 비즈니스 친화적 세금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닛케이에 따르면 지난 1월 싱가포르 금융기관의 외국인 예금액은 64억 싱가포르달러(약 5조3877억원)로, 지난해 1월에 비해 20%가 급증해 최고 수준에 달했다. 특히 홍콩 국가보안법이 제정된 지난해 5월의 예금액은 법 제정 직전인 4월보다 무려 40% 이상 늘어났다.

이에 대해 닛케이는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 강행 등 홍콩의 정치적 불안이 ‘안전한 투자처’라는 싱가포르의 매력을 돋보이게 했다고 해석했다.

싱가포르에서 20년간 활동해온 한 금융자산가는 “홍콩의 정치적 불안에 자산을 (홍콩이 아닌) 다른 국가로 분산하려는 자산가들이 늘었다”며 “총자산이 2000만 달러(약 226억8000만원) 이상인 사람들은 물론 500만~2000만 달러 자산가들도 싱가포르로 투자처를 옮기고 있다”고 닛케이에 전했다.

거대 자산가들의 해외 투자처 이동은 싱가포르 내 부호 증가로 이어졌다.

영국 부동산 컨설팅업체 나이트프랭크(Knight Frank)가 지난 1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싱가포르 거주자 중 3000만 달러 이상의 자산가 이른바 ‘슈퍼부자’의 수가 3732명으로 전년 대비 10.2% 증가했다.

나이트프랭크는 특히 싱가포르의 ‘슈퍼부자’ 수가 오는 2025년까지 16만2000명으로 2020년 대비 39% 증가할 것으로 추산했다. 같은 기간 중국 본토의 ‘슈퍼부자’는 46% 늘어난 10만3000명으로 예상했다. 이어 인도와 인도네시아는 각각 63%, 67%가 늘어난 1만1200명, 1120명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래픽=아주경제] 

◆“슈퍼부자 잡아라”···日 노무라, 싱가포르 시장 노린다
글로벌 거대 자산가들이 싱가포르로 집결하자 금융기관들도 싱가포르 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일본 노무라홀딩스는 싱가포르로 유입된 인도와 중동계 자본에 초점을 맞춘 전략을 내놨다.

노무라는 지난해 9월 투자은행 UBS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프라이빗뱅커(PB) 서비스 책임자인 라비 라주(Ravi Raju)를 고용했다. 라주 책임자는 싱가포르에 기반을 둔 국제 PB 서비스 운영 책임자로 자산가들의 자산 확대 관리 역할을 맡고 있다.

아울러 2023년 3월 말까지 싱가포르와 홍콩의 영업 직원 수를 현재의 60명에서 100명까지 늘리고, 2025년 3월까지 운영 자산 규모를 지금보다 250% 많은 350억 달러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하비노 유지 노무라 아시아 자산관리담당 상무는 “우리는 외환헤징(currency hedging), 레버리지 대출 등 기관투자자들을 위해 고안된 전문화된 서비스를 부유한 개인들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싱가포르에 빠진 ‘슈퍼부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한편 닛케이는 싱가포르의 ‘슈퍼부자’ 증가가 아시아·태평양 백만장자 수에도 영향을 줄 것임을 시사했다. 홍콩을 탈출한 자산가들은 물론,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새로운 투자처를 찾던 미국, 유럽 등 부호들의 자금도 싱가포르로 몰릴 것으로 본 것이다. 

글로벌 컨설팅업체인 캡제미나이(Cap Gemini)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100만 달러 이상을 투자할 수 있는 투자자의 수는 650만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북아메리카의 630만명, 유럽의 520만명보다 많고, 전 세계 백만장자 수의 3분의1에 달한다. 자산규모 역시 22조2000억 달러로, 북아메리카의 21조7000억 달러와 유럽의 16억7000달러보다 많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